카테고리 없음2021. 7. 14. 07:52

[대면예배와 성찬식이 새로운 형태의 저항이 될 수 있는 가능성?]

 

조르조 아감벤의 <얼굴 없는 인간>은 팬데믹 시대의 생명정치를 그가 그동안 주장해 왔던 '예외상태'의 개념을 통해 짚어보는 책이다. 이 책에서 아감벤은 팬데믹 상황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통치를 공고히 하려고 하는 정치 세력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무엇보다 민주주의가 정착되면서 통치자들이 자신의 설 자리를 점점 잃어가고 있는 이 때에 '제도적 권력의 정당성'을 갈구했던 권력자들은 영구적 긴급 사태를 불러올 수 있는 팬데믹 상황을 자신들의 존재 이유로 삼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우리에게는 '새로운 형태의 저항'이 필요할 것이다. 이것이 아감벤이 던지는 도전이다.

 

"기술-보건적 독재주의"를 그대로 용인해서는 안 된다는 아감벤의 충고 앞에서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새로운 형태의 저항을 펼쳐 나가야 할지,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면서 나는 대면예배와 성만찬이 새로운 형태의 저항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해 우리는 팬데믹 임에도 불구하고 '접속'을 통하여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최소화시키는 '접속'일 뿐, 사람과 사람 사이의 풍성한 관계를 유지시켜주는 접속은 아니다. 그러나 이렇게라도 접속되어 있다는 것에 안도감을 가지고, 팬데믹 이후 우리는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최대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팬데믹이 시작되고 교회에서 가장 논란이 된 것은 예배 논쟁과 성만찬 논쟁이다. 인터넷 접속을 통하여 드리는 예배가 진정한 예배가 될 수 있는 것인가? 인터넷을 통해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고 있는 성만찬은 유효한 것인가? 이런 질문과 함께 팬데믹의 발생으로 인하여 강제적으로 시행하게 된 비대면예배와 사이버 성찬식에 대한 유효성을 묻는 질문은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최대의 논쟁거리가 되었다.

 

그런데, 내가 느끼는 분위기는 비대면예배와 사이버 성찬을 긍정하는 분위기이고, 하나님은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는 분이라는 논리를 통해 그것들의 실행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 같다. 이제 비대면예배와 사이버 성찬식에 대한 거부감은 거의 사라진 듯하다. 이렇게라도 예배드릴 수 있는 것에 대한 감사가 오히려 크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 쉽게 비대면예배와 사이버 성찬을 '예외상태에 대한 용인'으로 받아들인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이것이다. 우리는 비대면예배와 사이버 성찬에 너무 쉽게 찬성함으로써 '기술-보건적 독재주의'를 아무런 저항 없이 삶 속에 받아들인 것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예외상태(긴급사태)의 일상화는 필연 인간의 자유와 사랑을 제한하게 된다. 보건, 또는 방역이라는 이름으로 인간은 자신이 가진 자유를 아무런 저항 없이 당국에 내놓게 되고, 신체적 접촉이 최소화된 사회에서는 사랑이 무력화될 수밖에 없다. 즉, 우리는 자유와 사랑을 잃어버린, 그저 신체만 가진 '벌거벗은 생명'이 될 뿐이다. 우리는 이러한 삶을 하나님이 주신 풍성한 삶이라 말할 수 없다.

 

그렇다. 우리에게는 '기술-보건적 독재주의', 즉 우리의 생명을 무참히 축소시키는 생명정치에 저항할 새로운 형태의 저항이 필요하다. 예배와 성만찬이 그 새로운 형태의 저항이 될 수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초대교회에서 박해가 일어 생명이 무참히 축소될 때에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의 생명의 풍성함을 증명한 것은 예배와 성찬식을 통해서 였다.

 

방역당국과 협조하여 팬데믹 국면을 잘 극복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긴 하나, 팬데믹을 빌미로 '기술-보건 독재주의'가 인간의 자유와 사랑을 축소시키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또한 기독교인들이 해야 할 하나님 나라의 일이다. 그 어느 때보다 그리스도인들이 뱀처럼 지혜롭고 비둘기처럼 순결해야 할 때이다.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