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31'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5.31 조에를 찾아 나서기를 간구하는 기도
  2. 2021.05.31 조에를 찾아서 (Finding ZOE/ζωή)
기도문2021. 5. 31. 12:51

조에를 찾아 나서기를 간구하는 기도

(롬 8:1-11)

 

주님, 우리는 무엇을 애통해 하며 살고 있습니까?

세상이 부추기는, 건강과 경제적 풍요가 없는 것에 대하여

애통해 하며 살고 있습니까?

우리는 충분히 건강하고 충분히 풍요롭지만 우리의 욕심은 끝간 데 없어

만족을 모릅니다.

주님, 우리 안에 있던 ‘조에(하나님의 생명)’가 쪼그라든 것을 불쌍히 여겨 주옵소서.

우리도 우리 안에 있었던 조에가 쪼그라든 것을 바라보며 애통하게 하옵소서.

사람들의 마음 속에서 조에가 실종된 것을 바라보며 애통하게 하옵소서.

주님, 푸쉬케(건강)과 비오스(경제적 풍요)는 목적이 아니라

조에(하나님의 생명)를 위한 수단임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하옵소서.

목숨과 살림살이를 십자가 위에 바쳐

우리에게 조에(하나님의 생명)을 선물로 주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도 우리 안에 있는 조에를 잃지 않기 위하여,

그리고 조에를 잃어버리고 엉뚱한 것을 위하여 생명을 낭비하는 자들을 위하여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을 사용하는 신실한 주님 나라의 백성이 되게 하옵소서.

조에를 찾아서 우리보다 먼저 앞서 가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Posted by 장준식
바이블 오디세이 I2021. 5. 31. 12:48

조에를 찾아서 (Finding ZOE/ζω)

(로마서 8:1-11)

 

‘조에를 찾아서’는 ‘니모를 찾아서’의 패러디다. 아빠 물고기 말린(Marlin)은 낛시꾼에게 잡혀간 아들 물고기 니모(Nemo)를 찾아서 멀고도 험난한 여행을 떠난다.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는 비극적인 장면에서 시작된다. 말린과 코랄은 보금자리 해초 더미 안에 알 400개를 낳는다. 알이 부화되기 직전, 꼬치고기가 알들을 잡아먹기 위해 공격해 왔고, 알들을 지키려던 엄마 물고기 코랄과 400마리의 알은 모두 꼬치고기에게 잡아먹히고 만다. 그 중에 한 알만 살아남는데, 꼬치고기의 습격 때문에 상처를 입어 그 알에서 태어난 아기 물고기는 한쪽 지느러미에 장애를 입는다. 아빠 물고기는 엄마의 소원대로 살아남은 아들 물고기에게 ‘니모’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니모(nemo)는 라틴어로 ‘nobody’라는 뜻이다.

 

400개의 물고기 자식들에게 ‘니모’라는 이름을 붙였다면, 자식들이 너무 많아 니모의 의미처럼 ‘nobody’였을 텐데, 이제 단 하나 살아남은 자식 물고기에게 ‘니모’라는 이름은 더 이상 ‘nobody’가 아니었다. 그래서 아빠 물고기 말린은 니모를 애지중지하며 키운다. 어느 날 불행하게도 니모가 어느 스쿠버다이버에게 포획되었을 때, 아빠 말린은 아들 니모를 찾기 위하여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더 이상 ‘노바디(아무도 아닌 존재’)가 아닌, 자신의 모든 것이 되어버린 생명과도 같은 아들 물고기 찾아 떠나는 모험을 그린 애니메이션이 바로 <니모를 찾아서 (Finding Nemo)>이다.

 

우리는 방금 ‘니모를 찾아서’에 대한 줄거리를 전개하면서, 아빠 물고기가 ‘생명’과도 같은 아들 물고기를 찾아 떠났다고 말했다. 여기서 말하고 있는 ‘생명’이란 무엇일까? 로마서 본문에서도 보면 ‘생명’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본문에 나오는 생명이라는 단어는 함께 등장하는 ‘죄와 사망’과는 이질적인 것, 반대되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오늘, 이 생명이 도대체 무엇인지를 깊이 들여다보고자 한다.

 

“번역은 반역”이라는 말이 있다. 한 나라의 언어를 다른 나라의 언어로 번역하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언어는 그 지역 문화의 총체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에 번역하는 것 자체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가령, 이런 것이다. 배이지역(San Francisco Bay Area)에서만 살던 아이에게 ‘산(mountain)’이라는 의미는 어떤 것일까? 당연히, 배이지역에서만 살던 아이에게 산은 민둥산일 것이다. 그런데, 강원도에서 살던 아이에게 산은 어떤 의미일까? 당연히 숲이 우거진 산일 것이다. 같은 ‘산(mountain)’이라는 언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배이지역의 아이와 강원도의 아이에게 ‘산’이라는 언어를 매개로 하는 산의 이미지는 서로 다르다.

 

성경을 한국어로 읽을 수 있다는 것은 축복이지만, 동시에 불행이기도 하다. 축복인 이유는 성경의 이야기를 우리 언어로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이지만, 불행인 이유는 성경의 원래 언어인 헬라어가 담고 있는 깊은 뜻을 한국어가 오롯이 담아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앙에 있어 많은 오해가 발생한다. 대표적인 예로, ‘죄’라는 용어가 그렇다. 한국어로 번역한 성경의 ‘죄’는 헬라어로 ‘하르마티아’이다. 한국어의 ‘죄’는 불교용어이다. 불교용어로서 죄는 ‘도덕성’과 연관된 단어이다. 그런데, 성경에서 ‘죄’를 나타내는 ‘하르마티아’는 도덕성과 연관된 단어가 아니라 ‘하나님’과 연관된 단어이다. ‘하르마티아’는 신학적인 용어이다. ‘죄’를 도덕성과 연관시키면 뭔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우리는 그것을 가리켜 ‘죄’라고 부르지만, 성경에서 ‘죄/하르마티아’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벗어난 상태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아브라함이 이삭을 하나님께 바친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는 성경에서의 ‘죄’의 개념을 파악할 수 있다. ‘죄’를 도덕성과 연관지어 생각하면, 아브라함은 당장 감옥에 가야할 인물이다. 어떻게 아들을 잡아서 제사를 지낼 수 있는가? 정말 끔찍한 일이다. 그러나, 성경은 아브라함을 죄인이라 부르지 않는다. 성경은 오히려 그를 ‘의인’이라 부른다. 아브라함은 열국의 아버지라 불린다. 왜 그럴까? 그가 가진 하나님과의 관계성 때문이다. 아브라함이 아들 이삭을 죽여 하나님께 제물로 바치려 한 사건은 하나님과의 관계성 안에서 발생한 ‘신앙사건’이지, 아들을 죽이려 한 파렴치한 아버지의 부도덕한 사건이 아니다.

 

그래서 성경에 등장하고 있는 ‘죄(하르마티아)’는 문제적 용어이다. 우리는 함부로 누군가를 ‘죄인’이라고 정죄할 수 없다. 겉으로 드러난 것만 가지고서, 즉 도덕성 문제를 가지고서 어떤 사람을 판단하기 쉽지 않다. 도덕적인 사람이라고 의인이 아니고, 비도덕적인 사람이라고 죄인이 아니다. 바리새인들은 매우 도덕적인 사람들이었지만, 예수님은 그들을 의인이라고 부르지 않았다. 그들이 보여준 하나님과의 관계성은 형편없었기 때문이다. 세리와 창녀들은 매우 비도덕적인 사람들이었지만, 예수님은 그들을 의인(구원받은 이들)이라고 불렀다. 그들이 보여준 하나님과의 관계성은 매우 놀라웠기 때문이다.

 

이렇게 성경에는 우리의 상식과 다른 전복적인 이야기들이 즐비하다. 그래서 성경은 처음 된 자가 나중 되고, 나중 된 자가 처음 된다고 말한다. 즉,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하나님과의 관계성을 증진시키는 일이지, 그것과 상관없이 도덕성을 키우는 일은 ‘위선’이 될 수 있다는 경고이다. 형편이 넉넉한 사람들은 도덕성을 키우기 어렵지 않다. 그러나, 가난한 이들은 도덕성을 키우기 어렵다. 그러나 누가 더 하나님 나라를 더 간절히 원하고 마음을 열어 받아들일까? 이것은 이미 예수님이 선포하신 말씀이다. (부도덕적으로 살아도 된다는 뜻이 아니다.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는 차원이 다른 도덕적 삶이 요구된다.)

 

신약성경에는 우리말로 ‘생명’이라고 번역되는 단어가 셋이나 있다. 프쉬케(ψυχ), 비오스(βος), 조에(ζω)가 그것이다. 이 각 단어에 대응하는 한국어 단어가 마땅치 않다. 그래서 이 각 단어를 풀어서 설명하면, 우선, 프쉬케는 ‘생물학적 목숨’을 말한다. 이 단어가 쓰인 구절은 마태복음 6장 25절의 말씀이다. 프쉬케의 구체적인 뜻을 적용하여 그 구절을 풀이하면 이런 뜻이다.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생물학적 목숨’을 부지하려고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걱정하지 말고, 몸을 감싸려고 무엇을 입을까 걱정하지 말아라. 목숨이 음식보다 음식보다 소중하지 아니하냐?” 또한 요한복음의 말씀 중 프쉬케가 쓰이는 구절은 이런 것들이 있다. “선한 목자는 양들을 위하여 자기 ‘생물학적 목숨’을 버린다”(요 10:11). “나는 양들을 위하여 내 ‘생물학적 목숨’을 버린다”(요 10:15).

 

다음, ‘비오스’는 우리말로 ‘살림, 또는 생활’에 가까운 말이다. 비오스는 살림살이, 생활수준의 뜻으로 바꾸어 생각하면 쉽다. 요한일서 2장 16절에 나오는 “육체의 정욕, 안목의 정욕, 이생의 자랑”에서 ‘이생’이라고 번역된 것이 ‘비오스’다. 우리가 보통 성경을 읽을 때 사용하는 개역개정판보다 새번역 또는 공동번역에서 이것을 좀 더 헬라어의 뜻에 가깝게 번역했다. 새번역은 ‘이생의 자랑’을 ‘세상 살림’, 즉 ‘살림살이, 생활수준’으로 번역을 했고, 공동번역에서는 ‘재산을 가지고 자랑하는 것’이라고 번역했다. 누가복음 15장에 나오는 탕자의 비유에서 작은 아들(탕자)이 아버지에게서 ‘분깃’을 받아 나간 것, 그 분깃이 바로 ‘비오스’다. 즉, 작은 아들은 아버지에게서 ‘살림살이/재산’을 분배 받아 나간 것이다. 아들은 그 살림살이/재산을 탕진했다. 요한일서의 언어로 옮기면, 탕자는 자신의 재산/살림살이를 세상에서 자랑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눈여겨봐야 할 용어는 ‘조에’이다. 조에는 위의 푸쉬케와 비오스와는 완전히 다른 ‘생명’이다. 푸쉬케와 비오스는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는 것이다. 물론 푸쉬케(생물학적 목숨)와 비오스(살림살이)도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이지만, 생물학적 목숨이나 살림살이(생활수준)은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다. 그러나 ‘조에’는 하나님이 우리 존재 안에 넣어주신 생명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생명이다. 아주 원초적인 생명이다. 생명을 생명 답게 만들어주는 하나님의 숨결(루아흐)이다. ‘조에’라는 용어가 쓰인 신약의 구절들은 다음과 같다. “나는 양들이 생명(조에)을 얻고 또 더 넘치게 얻게 하려고 왔다”(요 10:10). “내가 바로 생명(조에)의 빵이다”(요 6:35). (푸쉬케, 비오스, 조에에 대한 주석은 우진성 박사의 '일점일획 참조)

 

위에서 제시한 생명을 가리키는 신약성경의 세 용어, 푸쉬케, 비오스, 조에는 요즘 우리가 추구하는 것들로 바꾸면, 푸쉬케(생물학적 목숨)는 ‘건강(외모)’으로, 비오스(살림살이)는 ‘경제적 풍요’로, 그리고 조에는 ‘영성(하나님의 생명과의 일치)’으로 옮길 수 있다. 건강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시대는 얼마나 우리에게 건강에 몰두하게 만드는가. 그리고 우리는 그 건강을 얻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시간과 돈을 쓰는가. 경제적 풍요가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시대는 얼마나 우리에게 경제적 풍요에 몰두하게 만드는가. 그리고 우리는 그 경제적 풍요를 얻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시간과 돈을 쓰는가.

 

그런데, 문제는 우리가 기도하고, 소망하고, 바라는 것, 즉, 우리가 예수의 이름을 부르면서 예수 그리스도에게 기대하는 것은 예수께서 우리의 삶 속에 오셔서 우리를 건강하게 하시고, 우리가 경제적인 풍요를 누리도록, 또는 지금 누리고 있는 건강과 경제적 풍요를 계속해서 누릴 수 있도록 은혜 베풀어주시기를 간구한다는 것이다. 아주 간절히. 이게 왜 문제가 되는가? 복음과 충동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복음서에서 증거하는, 예수께서 우리에게 오신 이유는 일차적으로 우리의 건강과 경제적 풍요를 위해서가 아니라, ‘조에(하나님의 생명)’를 풍성하게 누리게 하시기 위해서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시대는 ‘푸쉬케(건강)와 비오스(경제적 풍요)’를 찾아나서는 사람들은 즐비한데, 막상 가장 중요한 ‘조에(하나님의 생명)’을 찾아나서는 사람은 별로 없다는데 있다. 왜 그럴까? 무엇이 진짜 생명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우리는 건강과 경제적 풍요가 생명이라고 생각하는데 머물고 만다. 그러나, 성경은 건강보다 경제적 풍요보다 더 중요한 생명이 있는데, 그것은 ‘하나님의 생명(조에)’이라고 증거하고 있다.

 

니모의 아빠 말린이 니모를 찾아 그 험난한 여정을 떠난 것은 니모가 생명처럼 소중했기 때문이다. 우리가 정말로 ‘조에(하나님의 생명)’를 가장 중요한 생명이라고 생각한다면, 우리는 푸쉬케와 비오스를 찾아나서는 것을 멈추고, ‘조에’를 찾아나설 것이다. 아니, 푸쉬케와 비오스를 찾는 것만을 강요하는 이 세상의 논리에 저항하며, 그러한 것들과 비교할 수 없는 참된 생명, 조에를 찾아나설 것이다.

 

고린도후서에 보면 이런 말씀이 나온다. “하나님께서는 질그릇 같은 우리 속에 이 보화를 담아주셨습니다.”(고후 4:7a). 여기서 사도 바울이 말하는 질그릇 같은 우리 속에 담긴 ‘보화’가 무엇일까? 그것이 바로 ‘조에’이다. 하나님의 생명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자신의 프쉬케(생물학적 목숨)을 바쳐 십자가에서 죽어 우리에게 가져다 주신 바로 그것, ‘조에’이다. 우리는 바로 그 조에를 우리 몸에 지니고 있다. 그렇게 ‘조에’를 지니고 있는 사람의 삶이 어떤가, 이어지는 구절을 보자. “이것은 그 엄청난 능력이 우리에게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보여주시려는 것입니다. (조에를 지니고 있기에) 우리는 아무리 짓눌려도 찌부러지지 않고, 절망 속에서도 실망하지 않으며, 궁지에 몰려도 빠져 나갈 길이 있으며, 맞아 넘어져도 죽지 않습니다. 이렇게 우리는 언제나 예수의 죽음을 몸으로 경험하고 있지만 결국 드러나는 것은 예수의 생명(조에)이 우리 몸 안에 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고후 4:7b-10).

 

예수님은 퓌쉬케(생물학적 목숨)와 비오스(재산/살림살이)를 바쳐 우리에게 하나님의 생명(조에)를 가져다주셨다. 즉, 건강과 경제적 풍요는 목적이 아니라, 하나님의 생명(조에)를 찾아나서기 위한 수단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우리는 반대로 하며 산다. 주님은 우리에게 생명(조에)을 주셨건만, 우리는 그것을 팔아 건강과 경제적 풍요를 사려고 한다. 우리의 목적은 어느새 ‘조에’가 아니라, ‘푸쉬케’와 ‘비오스’가 된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경험하는 신앙의 비극이고 신앙의 소외다. 사실 이 비극과 소외는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지 않고, 푸쉬케의 정욕, 비오스의 자랑을 부추기는 세상을 따라갔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바울은 말한다. “그러므로 이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자에게는 결코 정죄함이 없나니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생명(조에)의 성령의 법이 죄와 사망의 법에서 너를 해방하였음이라”(1-2절). 우리는 여전히 부족하지만, 그래도 우리가 더 이상 죄와 사망의 법 아래 있지 않고 자유인, 의인이 된 이유는 우리의 도덕성이 뛰어나서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생물학적 목숨과 살림살이를 통하여 우리에게 가져다주신 ‘조에(하나님의 생명)’가 우리 안에 있기 때문이다. 즉, 예수 그리스도 덕분에 우리와 하나님 사이의 관계성이 풍요롭기 때문이다. 건강(푸쉬케)과 비오스(경제적 풍요)가 우리와 하나님 사이의 관계성의 풍요로움을 말해주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로 우리에게 선물로 주신 조에가 그 풍요로움을 말해준다.

 

조에를 찾아서! ‘푸쉬케와 비오스만을 찾아나서!’라고 부추기는 이 시대에, 어느새 실종되고 만 ‘조에’를 찾아 나서는 일은 더욱더 긴급히 요청된다. 건강은 우리를 죄와 사망의 법에서 자유롭게 하지 못한다. 경제적 풍요는 우리를 죄와 사망의 법에서 자유롭게 하지 못한다. 우리를 죄와 사망의 법에서 자유롭게 하는 것은 ‘조에’이다. 건강하지 못하면 인간취급 받지 못하고, 경제적 풍요가 없으면 무시당하는 이 세상, 그러나, 조에가 없는 것은 괜찮다고 말하는 이 세상! 건강하지 못한 것을 애통해 하고, 경제적 풍요가 없는 것을 마음 아파할 줄 알면서, 조에가 없는 것을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이 세상!  바로 우리들! 우리는 도대체 무엇을 애통해 하며 사는가.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로 인하여 조에(하나님의 영원한 생명)를 받은 그리스도인이라면,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선물로 받은 조에를 잃어버리게 만드는 이 세상에 저항하며, 우리가 가진 건강, 우리가 가진 경제적 풍요를 수단 삼아 ‘조에’를 찾아 나서야 한다. 조에를 잃어버린 이 세대를 놓아두고 애통해야 한다. 그리고 조에를 찾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가를 힘껏 전해야 한다. 그러한 사람이 진정으로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이고, 자기 자신을 귀하게 여길 줄 아는 사람이고, 이웃을 사랑하는 사람이다. 우리 모두, 조에를 찾아서!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