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詩論)2021. 2. 2. 05:26

[김남주의 시 "어떤 관료"]

 

관료에게는 주인이 따로 없다!

봉급을 주는 사람이 그 주인이다!

개에게 개밥을 주는 사람이 그 주인이듯

 

일제 말기에 그는 면서기로 채용되었다

남달리 매사에 근면했기 때문이다

 

미군정 시기에 그는 군주사로 승진했다

남달리 매사에 정직했기 때문이다

 

자유당 시절에 그는 도청과장이 되었다

남달리 매사에 성실했기 때문이다

 

공화당 시절에 그는 서기관이 되었다

남달리 매사에 공정했기 때문이다

 

민정당 시절에 그는 청백리상을 받았다

반평생을 국가에 충성하고 국민에게 봉사했기 때문이다

 

나는 확신하는 바이다

 

아프리칸가 어딘가에서 식인종이 쳐들어와서

우리나라를 지배한다 하더라도

한결같이 그는 관리생활을 계속할 것이다

 

국가에는 충성을 국민에게는 봉사를 일념으로 삼아

근면하고 정직하게!

성실하고 공정하게!

 

ㅡ 김남주 시 "어떤 관료" 전문

 

외할아버지( 故 오지섭 목사님)께서 우리집에 내리신 가훈은 이렇다.

 

적극신앙

성실근면

평화위주

순종효도

 

전형적인 유교이념이 반영된 가훈이다. 이 시와 연관해서 눈에 띄는 가훈의 대목은 '성실근면'이다. 시에 등장하는 관료가 관료로서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근면하고 성실'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인의 눈에 보이는 관료의 근면과 성실은 그렇게 좋은 것만은 아니다. 근면과 성실 자체는 좋은 덕목이나 어떤 근면, 어떤 성실, 무엇을 위한 근면과 성실이었나를 물었을 때, 문제는 달라진다.

 

철학자 강신주의 김남주의 이 시와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 사상을 연결시켜 해석한 적이 있다. 나치에 부역했던 전범 아이히만이 보인 덕목도 '근면과 성실'이었다. 그러나 그의 근면과 성실은 유대인 600만명을 학살하는 결과를 낳았다. 아이히만에게서 보이는 이 사실만 보더라도 무엇을 위한 근면과 성실인가를 살피지 않을 수 없다.

 

대개 학창시절 각 학급에는 '급훈'이라는 것이 있었다.(지금도 있는 지는 모르겠다.) 그때 각 학급의 급훈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던 것이 '근면과 성실'이었다. 학교 교육의 목표가 마치 학생들을 근면하고 성실한 인간으로 키워내겠다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무엇을 위한 근면인지, 무엇을 위한 성실인지는 말하지 않았다.

 

근면하고 성실한 학생들은 공부도 잘했다. 그렇게 그들은 근면과 성실로 좋은 대학에 입학을 했고, 각종 나라 시험에 합격을 했고, '관리'가 되었다. 나라는 관리들에 의해서 운영이 된다. 근면하고 성실한 관리.

 

그러나, 근면하고 성실한 관리가 아무 생각 없이 나라에 봉사하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우리는 독일의 관리 아이히만을 굳이 거론하지 않더라도 우리의 근현대역사를 통해서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한나 아렌트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근면과 성실보다 훨씬 중요한 것은 '사유'이다. 사유하지 않는 사람, 사색이 없는 사람, 생각이 없는 사람이 근면하고 성실하기만 하면 누구든지, 아주 평범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아이히만'과 같이 엄청난 대학살을 아무렇지도 않게 저지르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아렌트의 통찰이었다. 그녀는 그것을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이라 불렀다.

 

우리는 자본주의의 발달로 인해 분업화가 심화된 사회에서 살고 있다. 우리는 각자의 자리에서 우리가 하는 일이 어떠한 사회적 파장을 불러올지 아무도 모른다. 우리는 그저 각자 분업된 일을 근면하고 성실하게 하면서 살아갈 뿐이다. 그렇다보니, 우리는 이 세상에서 지금 발생하고 경험하고 있는 악한 일들에 대하여 자신은 책임이 없다는 듯이 방관하며 산다. 바로 이러한 현상이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의 삶에 교묘히 들어와 있는 악의 실체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사는 지금 시대는 그 어느때보다 '사색적인 삶'이 절실히 필요하다. 내가 하는 일이 단순히 나를 먹고 살게 해준다고, 그 이후에 발생하는 일은 내가 상관할 바가 아니라고 말 할 것이 아니라, 나에게 주어진 일이 혹시 누군가를 맘 아프게 하거나 누군가의 생명을 해치거나, 우리가 사는 지구(프란치스코 교황의 용어를 빌리자면 'common home')를 망가뜨리는 것은 아닌지, 순간순간 자신의 행위에 대하여 '사색'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좋은 '근면과 성실'이라는 덕목은 가장 추악한 덕목으로 추락할 수도 있다.

 

그러니, 이렇게 말해보면 어떨까. "너무 근면하고 성실하게 살지 말자." 좋지 아니한가.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