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詩論)2022. 2. 15. 09:34

[시론] 허수경의 시 ‘물을 좀 가져다주어요’ – 포기하기엔 너무도 아픈

 

물 좀 가져다주어요

물은 별보다 멀리 있으므로

별보다 먼 곳에 도달해서

물을 마시기에는

아이들의 다리는 아직 작아요

 

ㅡ 허수경의 시 ‘물을 좀 가져다주어요’ 부분, 시집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에 수록

 

허수경의 시집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은 “전쟁을 직접 겪지 않은 한 인간이 쓰는 反전쟁에 대한 노래”다. 전쟁을 반대한다는 것은 그만큼 전쟁의 참상을 알아버렸다는 뜻이다. 전쟁을 경험하지 못한 시인은 어떻게 전쟁의 참상을 알게 되었을까. 시집에는 곳곳에 고고학 발굴의 현장 묘사가 담긴 시가 있다. “에이디 2002년 팔월 새벽 여섯 시 삽으로 정방향으로 땅을 자른다, 비씨 2000년경 토기 파편들, 돼지뼈, 염소뼈가 나오고…”(‘시간언덕’ 부분).

 

독일로 건너가 고고학을 공부하며 현장에서 땅을 파면서 시인이 대면한 것은 다름 아닌 전쟁의 참상이었다. 땅을 파고 들어가다 보면 ‘파괴층’이라는 고고학적 지층의 끝이 나온다고 한다. 한 문명이 끝나는 곳에서 발견되는 마지막 층이 파괴층이다. 그런데 더 흥미로운 것은 땅을 더 깊게 파고 들어가면 이 파괴층이 반복되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 지층을 파괴층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거기에는 인류의 전쟁과 살육의 역사가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인류는 끊임없이 전쟁을 통해서 서로를 죽이고 죽는 역사를 반복하는 절망의 존재라는 뜻이다.

 

전쟁은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최고의, 또는 최후의 폭력이다. 전쟁은 폭력의 바다라고 부를 수 있다. 이탈리아의 정치철학자 아감벤의 말을 빌려 표현하면, 전쟁은 궁극적 ‘예외상태’가 발생하는 비극의 시간이다. 정상적인 게 하나도 없는 시간, 인간의 마음도 육체도, 안과 밖으로 모든 것이 거꾸로 돌아가는 시간, 무엇보다 살인(남의 생명을 빼앗는 일)이 정당화되는 시간이다. 전쟁은 그야말로 인간성이 포기 당하는 최고의 절망적인 시간이다.

 

땅을 파내려 가다 발견하는 파괴층을 보면서 시인이 상상하는 것은 그 땅에서 농사를 지었을 아이들이다. 아이들은 그곳에 감자를 심었을 것이다. 그래서 그 땅에는 아직 감자의 시간이 남아 있다. 그러나 그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서 결국 전쟁터에 끌려 나가는 군인으로 성장하고 만다. 군인이 되고 싶었던 아이는 없었지만 전쟁은 그 아이들을 모두 군인으로 만들었다. 누가 별보다 멀리 물을 길러 가기에는 아직 연약한 다리를 가진 아이들에게 그러한 폭력을 휘둘렀을까. 물을 마시고 싶었던 아이들에게 누가 칼과 방패를 쥐어 주었을까.

 

넷플릭스에서 얼마 전에 공개된 <지금 우리학교는> 우리 시대의 아이들이 어떤 폭력에 놓여 있는지를 좀비 장르를 통하여 형상화시켜 잘 보여준다. 우리 시대의 전쟁은 총칼을 들고 하는 전쟁이 아닌 것만은 분명하다. 전쟁의 시기와 평화의 시기가 따로 있지 않고 삶 자체가 전쟁터로 변한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이런 세상은 누가 만들었는가. 아감벤이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듯이, 우리 시대는 ‘예외상태’가 일상화되었다. 우리는 파괴층이 일상화된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이다.

 

고고학을 공부하면서 파괴층의 반복 순환이 인류의 역사라는 비극적인 진실을 마주하면서도 시인이 희망을 포기하지는 이유는 삶을 포기하기에 우리는 너무도 너무도 아픈 역사를 지녔기 때문이다. 아프기만 한 삶과 역사라면 너무 허무하지 않은가. 너무도 아프기에 우리는 끝까지 희망을 놓을 수 없다. 물은 별보다 멀리 있고 우리의 다리는 연약하지만, 우리는 언젠가 별보다 먼 물에 도착하여 물을 마시게 될 것이다.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