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홉스의 사상으로 보는 남북관계
근대는 전쟁을 통해 탄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별히 유럽에서 발생한 30년 전쟁(1618-1684)은 종교에 대해서, 그리고 정치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 전쟁의 참상을 경험하며 자신의 사상을 키운 토마스 홉스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명제를 남긴다.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every man against every man”. 왜 인간은 서로를 향해 투쟁할 수 밖에 없을까?
토마스 홉스가 주목한 것은 자연 상태(the state of nature)이다. 여기에서 홉스의 독특한 인간론이 발견되는데, 그는 인간에 대해서 비관론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비관론은 어거스틴이나 루터, 또는 칼뱅이 말하는 신학적 비관론이 아니다. 앞의 신학자들은 죄의 개념을 인간에게 가져와 인간에 대한 비관론(죄에 의한 타락)을 전개하지만 홉스에게서 발견되는 비관론은 신학적 비관론이 아니라 경험적 또는 철학적 비관론이다.
홉스는 사람의 정신과 몸은 모두 평등하다고 말한다. 더 뛰어난 몸이나 더 뛰어난 정신이 없고, 모두의 몸과 정신은 같은 가치를 지닌다고 말한다. 그런데, 바로 이러한 평등성이 인간에게 고통과 비참함을 가져다 준다. 사람은 누구나 같은 몸, 같은 정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것을 바라고 소망할 수 있다. 문제는 바로 그때 발생한다. 서로 같은 것을 얻고자 할 때 거기에서 긴장이 발생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적이 되고 서로를 파괴하려는 열망이 생긴다.
남한이나 북한, 그리고 미국이 추구하는 가치는 같다. 그것은 국가의 안전이다. 홉스의 평등성에 기대서 말한다면, 어느 나라가 다른 나라를 다스리거나 간섭할 수 없다. 모두 평등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가 발생하는 지점은 모든 나라가 같은 것을 향해 경쟁할 때이다.
홉스는 이러한 상태를 자연 상태(the state of nature)라고 말한다. 이러한 자연 상태에서는 서로가 서로에 대해서 투쟁할 수 밖에 없다고 하는 것이다. 그렇다 보니까, 인간은 끊임없이 죽음의 위협에 놓이게 된다. 홉스는 여기에서 중요한 정치적 사상을 발전시키는데, 바로 그 죽음의 위협이 인간들 간에 사회 계약(social contract)을 낳게 한다는 것이다. 사회 계약을 통해 서로 투쟁 관계에 있던 인간들은 생명을 보존하고 평화를 일구어 낸다.
남한과 북한, 그리고 미국은 서로 간에 평화 계약을 맺으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럴 수 밖에 없다. (핵) 전쟁이 일어나면 공멸하기 때문이다. 서로 으르렁거리는 자연 상태에서 서로 간의 평화 협정을 이끌어 내는 가장 큰 원동력은 홉스가 말하고 있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 the fear of death’이다. 이처럼 남한과 북한은 21세기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저 ‘자연 상태’에 놓여 있을 뿐이다.
홉스가 발견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가져오는 사회 질서는 굉장히 원시적인 것 같으면서도 매우 심오하다. 그리고, 지금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국제 정세에 그대로 적용되는 실제적인 정치 이론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생각하면 남한과 북한이 평화 협정을 맺게 되는 계기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라는 것이 안타깝기도 하다. ‘남한과 북한 사이에 평화를 가져오는 데 있어 죽음에 대한 두려움보다 더 크고 위대한 가치가 없을까’하는 아쉬움 때문이다. 두려움이라는 부정적인 심리적 압박이 아니라, 보다 위대한 긍정적 가치가 남한과 북한의 평화를 일구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러한 측면에서 기독교는 남한과 북한의 평화를 위해서 어떠한 가치를 제공하고 있는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파루시아를 살다(신학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설교란 (0) | 2018.07.15 |
---|---|
악의 시대를 건너는 힘을 읽고 (0) | 2018.04.20 |
해방의 끝은 어디인가? (0) | 2018.04.18 |
김태리 주연의 '리틀 포레스트', 그리고... (0) | 2018.04.18 |
교회를 살리고 싶다 (1) | 2018.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