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와 기쁨
(고린도후서 7:2-16)
1. “ㅡ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가 다섯 번 반복되는 시가 있다. 정지용의 시 ‘향수’이다. 1989년 가수 이동원과 성악가 박인수가 듀엣으로 불러 유명해진 노래 ‘향수’의 원작이다. 한국 근대시인들(일제시대 때 활동했던 시인들) 중에는 윤동주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당시 한국 문학계에서 정지용은 아이돌이었다. 윤동주는 정지용을 너무 좋아해서 정지용의 첫 시집(1935년)을 구입하여(1936년) 필사하며 시작 연습을 했다. 정지용은 일본 유학파인데, 일본 교토에 있는 동지사(도시샤)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귀국하여 정지용은 모교인 휘문고등학교에서 영어교사로 교편을 잡았고, 해방 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수로 가르쳤다.
2. 연희전문을 다닐 당시 윤동주는 정지용의 집을 방문하곤 했다. 그리고 윤동주도 일본 유학의 꿈을 꾸고 일본으로 가게 되는데, 입교대학에 입학했다가 정지용이 다닌 동지사대학으로 옮겨서 거기에서 정지용처럼 영문학을 공부한다. 이처럼 윤동주에게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친 인물 중 하나는 정지용이다. 윤동주의 스승이라 할 수 있는 정지용의 시는 그 당시 매우 모던했다(새로웠다). 그의 시 ‘향수’가 발표된 시기는 1927년 3월이다. 거의 100년이 지난 지금 읽어도 전혀 낡은 느낌이 들지 않는 정지용의 시는 그야말로 한국 근대문학의 기적이다.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ㅡ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3. 인간에게 경험이란 존재를 꽃피우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존재하는 것에 대하여 어떤 경험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서 인간은 그 인격을 형성한다. 정지용에게 ‘고향’에 대한 경험은 한 마디로 이렇게 표현된다. “그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같은 고향이지만 누군가에겐 ‘꿈에서라도 생각하고 싶지 않은 곳’일 수 있다. 고향에 대하여 무슨 경험을 가지고 있는 지에 따라서 그 생각이 달라지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좋은 경험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험이 곧 생각의 틀과 그 사람의 인격이 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4. 고린도후서에서 바울이 ‘하나님’에 대하여 표현할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표현은 ‘위로의 하나님’이다. 1장에서도 바울은 고린도후서를 이렇게 시작하고 있다. “찬송하리로다 그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이시요 자비의 아버지시요 모든 위로의 하나님이시며 우리의 모든 환난 중에서 우리를 위로하사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 받는 위로로써 모든 환난 중에 있는 자들을 능히 위로하게 하시는 이시로다”(고후 1장 3-4절). 그 이후 계속해서 바울은 하나님을 ‘위로의 하나님’으로 기억하고 찬양하면서 자신도 누군가에게 위로가 되는 삶(부요케 하는 삶)을 살고자 하는 의지를 피력한다.
5. 수련회를 연다면 공동체 활동 시간에 가장 묻고 싶은 질문 중 하나이다. “여러분에게 하나님은 어떤 하나님이신가요? 한 단어로 표현해 보시고 왜 그런지, 무슨 경험 때문에 그런지 나누어 주세요.” 대개 사도 바울처럼 하나님을 ‘위로의 하나님’으로 고백하는 사람은 어려운 일을 많이 당한 사람일 가능성이 크다. 바울도 하나님을 ‘위로의 하나님’이라고 표현하며 찬송하는 이유는 그가 사역을 하면서 어려운 일을 많이 당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위로가 없었으면 바울도 그 사역을 감당하기 쉽지 않았을 것이다. (이 찬송이 그 당시에 있었다면, 바울이 가장 많이 불렀던 찬송 중 하나였을 것이다: 겸손히 주를 섬길 때 괴로운 일이 많으나~ 구주여 내게 힘주사 잘 감당하게 하소서!)
6. 고린도후서에는 정말 팽팽한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고린도후서를 읽으며 그 팽팽한 긴장감을 느끼는 사람은 성경을 제대로 읽고 있는 것이다. 모든 성경이 그렇다. 그 이면에는 어떤 긴장감이 배어 있다. 그 긴장감을 찾아내야만 성경을 읽을 때 재미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않은가? 영화 한 편을 보더라도 그 영화의 스토리가 지닌 긴장감을 찾아내고 유지해야만 그 영화가 재밌는 것과 마찬가지다.
7. 바울은 어느 순간 오해와 음해 때문에 고린도교회 성도들과 관계가 소원해졌다. 고린도후서에 흐르는 긴장감은 바울과 고린도교회 성도들 간의 소원해진 관계 때문은 아니다. 그 관계가 긴장감을 촉발시키기는 했지만, 그들의 긴장감은 그 관계 때문이 아니라, 그 관계를 회복하고자 써서 보낸 바울의 ‘눈물의 편지’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바울은 고린도교회 성도들과의 관계가 소원해진 것은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 그들이 뭔가 오해하고 복음에 대하여 잘못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말해주기 위하여 편지를 써서 디도 편에 보냈다. 지금처럼 운송체계가 활발하지 못했던 그 당시 편지를 보내 놓으면 그에 대한 답장을 받는 것은 꽤 오랜 기다림이 필요한 일었다. 편지를 보내 놓고 사도 바울은 마음을 조린다.
8. 바울이 고린도교회에 보낸 편지는 그렇게 정다운 편지가 아니었다. 바울은 그 편지를 ‘담대하게’ 썼다고 했는데, 여기서 담대하게 썼다는 것은 ‘frank speech’라는 말로, 아주 솔직하게 상대방을 향한 마음을 가감없이 있는 그대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솔까말 편지 / 솔직히 까놓고 말한 편지). 그러니까 바울은 고린도교회에 편지를 써서, 그들이 무엇을 잘못한 것인지, 조목조목 썼다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편지를 써서 보낸 측에서는 자기가 상대방에게 하고 싶은 말을 가감없이 다 써서 속이 시원할지는 몰라도, 그 편지를 받는 측에서는 어떠한 반응을 보일지 아무도 모른다는 것이다.
9. 바울은 ‘따끔하게 한 마디 한 편지’를 고린도교회에 보내 놓고 후회했다. 그것을 바울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내가 편지로 너희를 근심하게 한 것을 후회하였으나 지금은 후회하지 아니함은 그 편지가 너희로 잠시만 근심하게 한 줄을 앎이라”(8절). 개인적으로 나는 이 부분을 읽으면서 애처로운 마음이 들었다. 편지 한 통 보내 놓고 노심초사하는 바울의 모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우리도 종종 그러한 경험을 하지 않는가? 어떠한 일을 해놓고 그 일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지 몰라서 밤잠을 설치며 전전긍긍하는 것 말이다.
10. 바울은 자신이 써서 디도 편에 고린도교회로 보낸 편지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예측할 수 없었다. 아마도 바울은 그 편지로 인하여 자신과 고린도교회와의 관계가 완전히 뒤틀릴지 모른다고 걱정했던 것 같다. 그래서 그는 편지를 보내 놓고 “괜히 보낸 것 같다.”라며, 근심 속에서 하루하루 살았던 것 같다. 지금처럼 수일 내에 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시대도 아니었으니, 바울은 그 편지 사건 때문에 얼마나 많은 날들을 마음 졸였을까. 생각만 해도 애처롭다. 바울은 당연히 고린도교회에 보내 편지를 놓아두고 하나님께 매일같이 간절히 기도했을 것이다.
11. 바울과 고린도교회 사이에 가교 역할을 한 인물은 ‘디도(Titus)’였다. 디도는 바울의 편지를 고린도교회에 전했고, 디도는 그 편지를 받아 든 고린도교회의 반응을 바울에게 전해주었다. 고린도후서는 마치 서로 사랑하는 연인 사이인 바울과 고린도교회 간에 알콩달콩 싸우는 것처럼 보인다. 바울은 디도를 만나기 위해서 드로아의 사역을 포기하고 마케도냐로 건너가서 빌립보에 이르러 디도를 만나게 되는데, 디도가 가져온 소식은 매우 기쁜 소식이었다.
12. 바울은 이미 많이 지쳐 있었다. 바울이 5절에서 말하고 있는 것을 들어보자. “우리가 마게도냐에 이르렀을 때에도 우리 육체가 편하지 못하였고 사방으로 환난을 당하여 밖으로는 다툼이요 안으로는 두려움이었노라.” 바울은 말한다. 사역을 하면서 여러가지 어려운 일이 있어서 바깥으로는 사람들과 여러 다툼이 있었고, 심정적으로는 마음이 많이 두려웠다고 한다. 이런 상황을 바울은 ‘낙심(downhearted)’이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낙심한 자를 위로하시는 하나님”(6절). 바울이 자신의 ‘낙심’을 표현하기 위해 쓴 헬라어는 ‘타페이노스’이다. ‘이는 낮은, 가난한, 겸손한’이라는 뜻이다. 바울은 사역하면서 어려움을 겪었고, 자신의 질병과 디도에 대한 염려, 그리고 고린도교회에 보내 놓은 편지에 대한 걱정 등으로 인하여 한없이 ‘낮은 자리’에 있었다. 바울은 그러한 상황을 ‘낙심’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13. ‘낮은 자리에 처한 자’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당연히, 위로이다. 우리는 살면서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낮은 자리’에 처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병에 걸렸을 때, 가족 중 누가 아플 때(특별히 자식이 아프면), 자식이 내 마음대로 안 될 때, 가족의 불화를 경험할 때, 직장 문제, 인간 관계의 문제, 하고자 하는 일이 제대로 잘 안 될 때, 등등 우리는 살면서 수도 없이 ‘낮은 자리’에 처하게 된다. 바울은 지금 자신이 ‘낮은 자리’에 있었다고 고백한다. 얼마나 힘들었으면 ‘낙심(낮은 자리에 처하다)’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을까. 정말 애처로운 모습이다.
14. 그런데, 본문에 흐르는 기류는 단순히 ‘낙심’이 아니다. 본문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는 ‘낙심’이 아니라, 위로와 기쁨이다. “그러나 낙심한 자를 위로하시는 하나님이 디도가 옴으로 우리를 위로하셨으니 그가 온 것뿐 아니요 오직 그가 너희에게서 받은 그 위로로 위로하고 너희의 사모함과 애통함과 나를 위하여 열심 있는 것을 우리에게 보고함으로 나를 더욱 기쁘게 하였느니라”(6-7절). ‘낮은 자리에 처해 있던’ 바울의 상황에 반전을 일으킨 사건은 ‘디도의 옴’이다. 정확하게는 하나님께서 ‘낮은 자리에 처해 있던’ 바울을 위로하셨는데, 그 방법은 ‘디오의 옴(by coming of Titus)였다. 바울에게 ‘디오의 옴’은 그냥 사건이 아니라, 하나님의 위로의 사건이었다는 뜻이다.
15. 디도는 참으로 기쁜 소식을 들고 왔다. 고린도교회에 편지를 보내 놓고 노심초사하고 있던 바울에게 디도는 참으로 기쁜 소식을 전해준다. 고린도교회의 성도들이 바울의 편지를 읽고서, (그 편지는 결코 friendly한 편지가 아니었다), 바울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회개하고 마음을 돌이켰다는 소식이었다. 바울은 그 소식을 듣고 너무 기뻐했다. 그래서 바울은 자신이 써서 보낸 편지를 받아들고 근심했을(마음 찔렸을) 고린도교회 성도들을 향하여 이렇게 칭찬하며 말한다.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은 후회할 것이 없는 구원에 이르게 하는 회개를 이루는 것이요 세상 근심은 사망을 이루는 것이니라”(10절).
15. 이것은 참으로 따스한 고백이다. 편지를 써서 디도 편에 보내 놓고, 편지를 보낸 것에 대하여 후회하면서 마음을 쓸어내리고 숱한 날을 가슴 조리며 기도했을 바울은 너무도 기쁜 나머지, 지금 주님께 영광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하나님은 자신의 편지에 함께 하시고, 그 편지를 읽은 고린도교회 성들과도 함께 하셔서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셨다는 고백인 것이다. 그래서 바울이 한 근심이나 고린도교회 성도들이 한 근심은 세상 근심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대로 한, 하나님 안에서 한 근심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지금 이렇게 좋은 결과, 좋은 열매를 맺게 되었다는 고백인 것이다. (할렐루야!)
16. 지금, 우리를 낙심케 하는 일이 무엇인가? 지금 우리를 ‘낮은 자리에 처하게 하는’ 일은 무엇인가? 낮은 자리에 처하는 일은 참 어렵다. 내 자신이 한없이 작아지고, 내 자신이 한없이 무력해지고, 내 자신이 한없이 슬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다. 눈물 흘리는 것 외에는 마땅히 할 게 없다. 그러한 감정을 감당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러나 우리에겐 하나님이 계시니까, 조금 힘을 냈으면 좋겠다. 나를 한없이 ‘낮은 자리에 처하게 만드는 바로 그 일’을 주님께 내어드리면 좋겠다. 그러면, 낮은 자의 하나님, 스스로가 낮은 자리에 처하신(케노시스) 하나님, 우리를 위로하시는 하나님께서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우리에게도 ‘디오의 옴’과 같은 위로와 기쁨을 안겨주실 것이라 믿는다. 위로의 하나님이 우리가 경험한 하나님이길, 간절히 기도한다.
'바이블 오디세이 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한 그리스도인 (Weak Christians) (0) | 2021.10.04 |
---|---|
신앙의 역설 (0) | 2021.09.27 |
마음을 넓히라 (1) | 2021.09.17 |
그리스도인의 갈망 (1) | 2021.09.08 |
낙심하지 않으려면 (0) | 2021.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