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과 믿음
우리가 흔히 말하는 ‘믿음’이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은 믿음을 고백으로 여긴다. 입술로 “예수는 주님이십니다”라고 말하고, 교리를 받아들이고, 교회에 출석하고, 기도하고 찬송하는 것. 그것이 믿음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요한계시록은 그런 믿음의 정의에 뼈아픈 이의를 제기한다.
요한계시록이 말하는 믿음은 ‘저항’이다. 단순한 동의나 고백이 아니라, 어떤 체제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반대이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요한계시록의 믿음은 로마 제국의 질서에 대한 비폭력적이고 예언자적인 저항이다.
그 시대 로마 제국은 절대 권력을 가진 황제를 숭배하게 했다. 그 황제는 바다에서 올라온 짐승처럼 등장하며, 화려한 권력과 위용으로 사람들을 현혹했다. 그는 입으로는 ‘평화’를 말했지만, 그 평화는 검과 피로 유지되었다. 그가 세운 질서는 무고한 생명의 희생 위에 세워졌고, 약한 자의 고통 위에 번영을 노래했다.
요한계시록은 바로 그 짐승, 곧 황제와 제국에 저항하라고 명한다. “누가 이 짐승과 같으냐?”는 찬양은 체제에 순응하고 복종한 자들의 탄식이며, “누가 능히 이와 싸우리요?”라는 말은 믿음 없는 자의 절망이다. 그러나 요한은 거기서 멈추지 않는다. 오히려 그 짐승의 정체를 폭로하며, 싸우라고 말한다. 아니, 저항하라고 말한다.
그 저항이 바로 ‘믿음’이다. 요한계시록에서 믿음이란, 황제의 권력에 무릎 꿇지 않는 것이다. 황제의 거짓 평화에 동참하지 않는 것이다. 짐승의 권세를 찬양하지 않는 것이다. 비폭력적인 인내로, 체제의 폭력을 견디며 진실을 말하는 것이다. 심지어 죽음에 이르기까지, 하나님 나라의 질서를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믿음’과 얼마나 다른가. 통상적인 믿음은 내세의 평안과 구원을 보장받기 위한 조건으로서의 믿음이다. 하지만 요한계시록의 믿음은 현재의 체제에 대한 급진적이고 영적인 대항이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구원이 아니라, 역사와 공동체의 정의를 갈망하는 신앙이다. 그렇기에 믿음은 고백이 아니라 ‘길’이다. 진실을 향해 나아가는 길. 그 길은 때로 외롭고, 고통스럽고, 때론 죽음의 위협 앞에 선다.
그러나 요한은 말한다. “성도들의 인내와 믿음이 여기 있느니라.”(계 13:10) 그 인내는 결코 침묵이나 체념이 아니다. 비폭력의 힘을 지닌 고요한 저항이고, 사랑의 방식으로 체제를 바꾸려는 성령의 전략이다. 믿음이란, 모든 생명이 존귀하다는 하나님의 선언에 동의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동의를 삶으로 증명하는 것이다.그 어떤 이유로든 생명을 경시하거나, 그 권리를 짓밟는 자들과 싸우는 것이다. 그 싸움은 손에 무기를 쥐는 일이 아니라, 마음에 복음을 품는 일이다. 예수의 십자가가 보여주듯, 가장 깊은 저항은 사랑이며, 가장 강한 믿음은 자기 생명을 나누는 것이다.
오늘날에도 우리 앞에는 짐승이 있다. 거짓을 진실처럼 포장하는 미디어, 약자를 착취하는 자본의 논리, 혐오를 조장하며 질서를 세우는 이념들. 그 앞에 우리는 무엇을 믿을 것인가? 누구의 편에 설 것인가?
믿음은 여전히 고백이 아니라, 저항의 선택지 속에서 나타난다. 그리고 그 믿음은, 세상을 두려워하지 않고 하나님 나라를 기다리는 자들 안에 살아 있다. 믿음은 그리스도를 따르되, 짐승에게 무릎 꿇지 않는 것이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시급한 신앙 회복은 ‘믿음의 정의’를 다시 쓰는 일인지도 모른다. 요한계시록이 새겨준 그 믿음, 곧 저항하는 믿음을 다시 품고 살아야 한다. 그 믿음이 우리를 진짜 그리스도인으로 세울 것이다.
'파루시아를 살다(신학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과 예배 (0) | 2025.05.11 |
---|---|
한국 경제와 교회가 막장으로 가는 이유 (0) | 2025.05.09 |
조희대 대법원장의 판결에 부쳐― 나쁘거나, 공부를 안 하거나 (0) | 2025.05.03 |
요한계시록의 정치적 비전 (0) | 2025.04.26 |
부활의 의미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