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의 공동체]

 

현대철학은 들여다보면 볼수록 종말론적이다. 데리다의 해체 개념이나 장 뤽 낭시의 무위 개념은 모두 나의 눈에는 기독교의 종말론 개념처럼 보인다.

 

노장사상이라고 알려진 '무위' 개념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비협조적 태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세계를 고정되고 완성된 것으로 보는 것에 반대하는 태도'이다. 이것은 정확히 기독교의 종말론적 태도와 일치한다.

 

장 뤽 낭시는 <무위의 공동체>에서 이 세계에 갇혀 있지 않은 새로운 공동체를 상상한다. 그것이 무위의 공동체이다. 우리는 어떤 관념적 틀이나 제도적, 또는 사회적, 집단적 틀에 갇혀 있다. 갇혀 있다는 게 문제가 아니라 그 틀을 고정되고 완성된 것으로 여기고 거기에 순응하는 태도가 문제이다. 장 뤽 낭시는 이러한 태도를 거부한다.

 

데리다의 해체 개념도 따지고 보면 낭시의 생각과 같은 맥락에 있다. 왜 해체가 필요한가? 현재 우리가 몸담고 있는 관념적, 제도적,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등 모든 틀들은 고정되고 완성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잠정의 세상이지 완성의 세상이 아니다.

 

이러한 생각은 근본적으로 기독교 종말론에 담긴 생각이다. 종말론은 이 세상을 잠정적인 것으로, 즉 고정되거나 완성된 것으로 보지 않는다. 그래서 낭시의 용어를 빌려 표현하자면, 교회는 무위의 공동체가 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교회는 그것을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려야 할 의무를 지닌 것이다.

 

혐오와 배제, 그리고 폭력이 왜 발생하는가?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타자를 자신과 동일시 하려는 욕망이다. 자신의 육체성(자신이 몸담고 있는 현실성)이 절대이고 고정되고 완성된 것이라고 생각하는 무지는 필연적으로 혐오와 배제, 그리고 폭력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현실성에 묻힌 자는 그 현실에 숨막혀 죽거나 그 현실성이 전부인 양 그 현실을 우상처럼 받들어 모시며 살 것이다. 그리고 그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조롱하며 자기 현실에 그 사람들을 끌어들이려고 온갖 협박과 술수를 쓸 것이다. 이러한 현실은 지옥이 될 수밖에 없다.

 

현실을 지옥으로 전락시키지 않으려면 우리는 종말론적 태도를 견지해야만 한다. 이 세상은 잠정적인 세상이지 종결된 세상이 아니라는 것, 그래서 우리는 현실에 파묻히지 말아야 하며 언제나 새로운 세상을 꿈꾸고, 그 세상을 현실에 이루어내기 위해서 의미 있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 그러한 무위의 인간, 무위의 공동체가 우리에게 숨을 불어넣어주고 우리를 살게 할 것이다.

 

"현실이나 미래에 실현되어야 한다고 가정되는 모든 정치적이거나 경제적 지평을 넘어서는 계획/기획/프로그램의, 관념으로 동일화될 수 있는 모든 구도의 바깥에서 보이지 않는 '우리'의 근거가 드러난다는 것이며, 그 근거와 마주하기 위해서는 이미 결정된 사회나 결정되어야 할 사회로부터 돌아서는, '위험하고도 급진적인' 박탈과 비움의 움직임, 즉 무위의 움직임이 반드시 요청된다는 것이다"(<무위의 공동체>, 263쪽, 옮긴이의 해설 중).

 

무위의 움직임이 많아지고 깊어지는 세상을 꿈꾸며.

'파루시아를 살다(신학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주의를 부탁해  (0) 2022.03.20
강의의 한 구절  (0) 2022.03.13
세습은 자본주의 사회의 산물  (0) 2022.03.13
일기장으로부터  (0) 2022.03.13
자유  (0) 2022.03.13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