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아렌트와 교회론

 

플라톤은 정치철학 분야에 있어 기여한 바가 크다. 그의 책 <국가>는 정치철학 분야에서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이다. 거기에 플라톤은 '철인왕의 통치'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데, 철인(철학을 하는 사람)이 국가를 통치해야 하는 이유는 철인이야 말로 진리의 원형인 이데아의 세계를 인식한 자이기 때문에, 진리의 정치를 펼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아렌트는 플라톤의 이러한 생각을 비판한다. 그가 정치의 본질을 간과하고 진리의 정치를 주장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렌트가 말하는 정치의 본질은 정치란 진리 실현의 장이 아니라 인간 복수성(아렌트의 용어다)에 기반을 둔 다양한 의견의 각축장이라고 말한다.

 

아렌트가 플라톤의 진리의 정치에 맞서 제시하는 정치 개념은 '의견의 정치'. 아렌트에 의하면 의견이란 자신이 처한 삶의 환경과 고유한 처지를 따라 형성된 것이다. 인간의 복수성에 따라 인간은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존재이고 정치란 각 사람의 의견을 모아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어떤 것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아렌트가 가장 비판하는 내용은 '진리주장의 폭력성'이다. 그녀는 현실 정치에서 진리를 적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현실 정치에 진리를 적용하면 폭력만이 발생할 뿐이라고 말한다. 현실에서 진리를 완전히 파악하고 알 수 있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기독교인들은 대개 교회를 '진리 실현의 장'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주로 목회자들에게서 그러한 생각이 만연하다. 마침 그러한 성경구절도 있기 때문이다.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14:6)는 말씀과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8:32)는 말씀이 대표적이다. 이런 말씀에 근거해 교회는 자기의 정체성을 '진리 실현의 장'으로 여길 가능성이 크다.

 

아렌트는 철인왕이 진리의 이름으로 국민들을 길들이려고 노력하고, 그러다 보면 거기에 폭력이 나타날 개연성이 높다고 비판한다. 진리의 정치가 작용하면 지도자와 일반 시민들 사이에 지배자와 피지배가 관계가 형성될 뿐 아니라, 수직적 위계질서가 생겨나기 쉽다는 것이다. 이러한 위험성은 자신을 '진리 실현의 장'이라고 인식한 교회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너무 높다. 목회자는 스스로를 '철인왕'으로 생각할 여지가 높다.

 

진리의 정치의 이러한 위험성을 안다면, 그리고 인간의 복수성의 중요성을 안다면, 교회는 자신의 정체성을 '진리 실현의 장'으로 두지 말고, '의견 정치의 장'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목회자는 자신을 철인왕(또는 믿음왕)으로 자리매김할 것이 아니라,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산파'로 인식하는 게 좋다. 그래서 목회자는 교회 구성원 모두가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도록 도와 진리를 발견하게 하고, 각자의 의견의 민주적 교환을 통해 가장 진리에 가까운 하나님의 뜻을 발견해 나가는 '의견의 정치'를 실현하는 게 좋다.

 

그러나 대개 교회와 교회의 지도자(목회자) '의견의 정치'를 꺼려한다. 의견의 정치는 필연적으로 시끄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회가 시끄럽지 않고 질서 있게 조용히 운영되는 것은 교인들의 바람이라기 보다 교회 지도자(목회자)의 바람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교회에서는 침묵이 강요될 때가 많다. 교회를 시끄럽게 하면 사탄의 하수인으로 몰려 어려움을 당할 뿐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의견의 정치'가 좋은 것만은 아니다. 의견의 정치를 실현하려면 덕을 갖춘 시민성을 견지해야 하는 것처럼, 교회에서 의견의 정치가 실현되려면 교회의 구성원 모두가 '그리스도의 덕'을 갖춘 성숙한 교인이 되어야 한다. 그런 성숙함이 없는 상태에서 자신들의 의견만 개진하려 든다면, 오히려 '진리의 정치'를 펼치는 것만 못하게 교회 공동체가 산으로 갈 수 있다.

 

그래서 교회 구성원은 자신의 의견을 민주적으로 개진하며 서로의 의견을 존중할 줄 아는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 데까지 이른' 성숙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해야 한다. 그렇게 교회 공동체를 성숙하게 세워갈 수 있다면, 그 교회 공동체는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파루시아를 살다(신학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로윈  (0) 2019.10.31
감사한 뉴스  (1) 2019.10.24
실리콘밸리의 철학  (0) 2019.10.19
대형교회는 왜 위험한가  (1) 2019.10.18
공의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성애 문제  (0) 2019.10.12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