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의 철학

 

나는 실리콘밸리의 주민이다. 실리콘밸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를 몰고다니는 지역이다. 최첨단 과학이 발생하고 적용되는 지역이다. 그렇다 보니, 실리콘밸리 지역에 와 보지 않은 사람들은 이곳이 뉴욕의 맨하튼처럼 화려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이곳은 전혀 그렇지 않다. 조금 발달된 시골일 뿐이다. 게다가 풍경이 삭막하기까지 하다. 민둥산과 개발되지 않은 해변(샌프란시스코만)에 둘려쌓여 있다. 곳곳에 말과 소들이 풀을 뜯고 있다. 그래서 이곳에 처음 온 사람은 묻는다. '실리콘밸리가 어디에요?'

 

이곳은 전세계의 모든 자본과 인재가 집약적으로 모여 있는 곳이다. 전세계에서 창업하기 가장 좋은 도시로 꼽힌다. 인구 10만명 당 박사학위 소지자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이다. 자연스럽게 이곳은 교육열이 매우 높다. 경쟁이 극심하다. 한국은 한국인들끼리 경쟁하고 있지만, 이곳의 한국인 2세들은 중국, 인도, 타이완, 베트남 등 아시아와 유럽, 남미의 전세계에서 온 수재들의 2세와 경쟁을 한다. 일례로, 우리 아이가 다니는 학교의 한 한급에는 대략 30명 정도의 학생이 있는데, 다국적 학급일 뿐 아니라, 30명 중에 10명이 ' A'를 받는다. B 하나만 있어도 10등 밖으로 밀려난다.

 

이곳의 아이들은 초등학생 때부터 경쟁에 치인다. 큰 아이 초등학교 졸업식 때 대표 연설한 중국 아이는 자기의 꿈을 당당하게 말하며, 아이비리그에 들어가서 공부한 뒤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그 아이의 나이는 이제 12살 밖에 안 됐는데, 그런 말을 한다. 우리 아이도 가장 닮고 싶은 인물이 '앨런 머스크'라고 말한다. 테슬라 자동차 본사는 우리 교회 바로 옆에 있다.

 

이곳은 젊은 인재들이 몰려 있다. 그래서 도시가 활기차다. 사람들이 너무 몰려들어 집값이 매우 높고(대략 방 두개 짜리 아파트 렌트비가 3000~4000불 한다), 교통체증이 심하다. 도로에서는 매일 같이 사고가 난다. 트래픽이 심한 시간에는 돌아다닐 엄두가 안 난다.

 

이러한 실리콘밸리에는 어떠한 철학이 있을까? 바로 ''이다. 돈이 곧 철학이다. 실리콘밸리는 자본주의의 핵심지역이다. 이 지역만 따로 떼서 보면, 세계 경제 11위이다. 이 작은 지역만으로도 세계 경제의 11위에 오른다니, 이곳에 얼마나 많은 돈(자본)이 몰려 있는지 알 수 있다.

 

요즘 실리콘밸리의 뜨거운 이슈는 'AI 인공지능'이다. 실리콘밸리에서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이 되기 때문이다.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좀 더 들여다 보면 굉장히 무서운 이야기이다.

 

자본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장'이다. 신자유주의는 '인간의 자유'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자유'를 말한다. 신자유주의의 모든 법과 규제는 시장의 무한한 확장을 보장하는 법과 규제이다. 옛날에는 무역장벽이 있어 시장 확대가 어려웠지만, 지금은 무역장벽이 모두 허물어져서 기업들은 자신들의 시장을 개척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AI의 개발은 시장의 영역을 공간을 넘어 인간의 정신 영역으로 확장한다. 일례로, 누군가 어떤 특정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 구글이나 아마존에서 검색을 했다면, 그 이후 며칠 동안 그 물건에 대한 구매가 이루어질 때까지 인터넷 공간에 그 물건에 대한 구매 정보가 뜬다. AI가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소비자의 소비패턴(이것은 인간의 정신영역이다)을 분석하여 소비자의 소비를 최대한 이끌어 내는 것이다. 좀 거칠게 말해서, AI를 이용한 기업들은 소비자의 정신 영역까지 탈탈 털어, 그의 호주머니를 쪽쪽 빨아 먹는 것이다.

 

실리콘밸리 주민으로서 이러한 현상을 보면, 무서운 마음도 든다. 시장을 개척하고자 하는 자본주의 사회 기업들의 의지가 무섭고, 그 영역을 인간의 정신영역에까지 뻗치고 있다는 게 무섭다. 우리는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의 주머니를 '합법적으로' 털리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에 그리스도인으로서 나는 어떠한 철학을 견지하며 실리콘밸리의 철학(맘몬철학)에 맞서 생명을 아름답고 풍성하게 지켜내야 할지 고민이다. 기술발전 뒤에 감춰져 있는 맘몬신을 폭로하고 거기에 저항하는 일을 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어느덧 두 주인(하나님과 맘몬) 중 하나님을 버리고 맘몬을 숭배하는 배교자로 전락할 지 모른다. 내가 이미 맘몬 숭배자가 아닌지 두렵다.

'파루시아를 살다(신학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사한 뉴스  (1) 2019.10.24
한나 아렌트와 교회론  (0) 2019.10.22
대형교회는 왜 위험한가  (1) 2019.10.18
공의회, 오리엔트 정교회, 동성애 문제  (0) 2019.10.12
나무를 사랑한다면  (1) 2019.09.24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