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정의와 정치적 정의, 그리고 (목회) 세습 문제

 

경제적 힘이 소수의 손에 있고 그들이 정치적 힘을 그들의 뜻에 맞게 사용하는 한 정의는 실현되지 않는다.

ㅡ 라인홀드 니버

 

경제적 불평등이 얼마나 큰 불의를 생산해 내는지 안다면, 요즘 전세계적으로 사회적 큰 문제가 된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를 풀기 위해 종교가 무슨 역할을 감당해야 할지 깊이 고민해야 한다.

 

경제적 힘이 곧 정치적 힘이 된 요즘, 경제적 불평등을 생산해 내는 기득권자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힘을 놓치지 않기 위하여 경제적 불평등을 계속 유지하는 방향으로 세상을 이끌려 할 것이다.

 

피케티는 <21세기 자본주의>에서 이 문제를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경제적 불평등은 '세습 자본주의'에서 온다. 자본주의가 제대로 작동하면 부가 평범한 사람들에게까지 분배되어 개인의 자유가 증대된다고 하는 자본주의 논리가 '세습 자본주의'에 의해서 허물어졌다는 주장이다.

 

이것은 한국 개신교에서도 한창 논쟁을 벌이는 '목회 세습'의 문제를 경제적 불평등의 시선으로 보게 만든다. 목회 세습은 단순히 '목회직'의 세습이 아니라, 자본의 세습이다. 피케티가 지적하고 있듯이, 자본의 세습은 개인의 자유를 자본을 소유한 소수에게만 집중시킬 뿐, 대다수 사람들의 자유는 자본에 의해 구속당하고 만다.

 

목회 세습을 통하여 자본의 세습을 이룬 이들은 경제적 힘에서 비롯된 정치적 힘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뜻에 맞게 목회 현장을 조작하고 교회 생태계를 혼란시킨다. 세습한 이들이 세습 자본으로 교회의 생태계를 주무르는 한 정의는 묘연해 진다.

 

이것 뿐 아니라, 젊은이들이 보수화되는 현상은 이미 고착된 세습 자본을 놓치지 않으려는 투쟁에서 비롯된다. 피케티가 제시하고 있는 누진세 제도와 국제적 부유세의 도입을 하려면 할수록 정부는 다른 층보다도 젊은 층에 의해서 저항에 부딪힐 것이다.

 

자본이 세습되고, 권력이 세습되는 현상은 역사적으로 볼 때 한 나라의 말기적 현상이다. 고려 말기, 권문세가는 자본과 권력을 세습하여 자신들의 왕국을 만들어 갔지만, 그것이 곧 고려 왕조가 무너지고 조선 왕조가 세워지는 기폭제가 된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무엇이든 '세습'은 고인물이고 곧 썩은 물이다. 그곳에서는 더이상 물고기가 살 수 없다.

 

세습의 물꼬를 트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인간은 악하고, 악한 인간이 만들어 가는 사회는 더 악한데, 어떻게 해야 이 악에서 구원을 받을 수 있을까? 종교(기독교)는 어떠한 역할을 통해서 이 악한 세상에서 고통당하는 수많은 민중을 구원할 수 있을까. 고민이 깊어지는 밤이다.

'파루시아를 살다(신학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버의 죄론  (0) 2019.03.02
3.1절 아침에  (0) 2019.03.02
교회 유토피아주의의 위험성  (0) 2019.02.28
모더니티와 기독교인들의 오해  (0) 2019.02.26
과학이 종교를 만날 때  (0) 2019.02.23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