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자본주의 시대의 신앙]

 

‘개인’이라는 개념은 근대에 생겨난 개념입니다. ‘마음’이라는 것도요. 중세 시대까지만 해도 ‘개인’이라든지 ‘마음’이라든지, 이런 개념이 사람들에게 별로 없었어요. ‘나’라고 하는 존재는 나보다 큰 존재에 묶여 있었기 때문입니다. 가령, 자식은 부모에게 묶여 있고, 가족은 집안에 묶여 있었죠. 집안은 더 큰 공동체에 묶여 있었고, 결국 가장 높은 곳으로 가면, ‘임금’이 있었어요. 그래서 ‘나’라는 존재는 없고, 언제나 존재는 나보다 더 큰 존재에 묶여 있는, 그래서 개인이라는 개념과 마음이라는 개념을 갖지 못했죠.

 

개인주의 사회와 ‘내 마음’이 중요한 시대에 사는 우리는 위에서 설명한 이야기가 선뜻 이해되지 않을 겁니다. 시대가 바뀐 탓이죠. 시대가 바뀌면 그 이전 시대는 전혀 인식되지 못합니다. 우리가 몸 담고 있는 시대가 전부인 것이죠. 개인과 마음이 발명되기 전, 인간은 세상이 그냥 그런 줄 알고 살았습니다. 임금님, 또는 집안의 뜻이 곧 내 뜻이었고, 임금님, 또는 집안의 마음이 곧 내 마음이었죠. 다른 뜻과 마음을 품는 것 자체에 대한 개념이 없었어요. 그래서, ‘군사부일체’(임금과 스승과 아버지는 하나다)라는 말이 사회의 규율로 엄격하게 작동했습니다.

 

근대(modernity)에는 정말 많은 것이 바뀌었습니다. 그야말로 개벽을 한 것이죠. 무엇보다, 개인이라는 개념이 생겨나고, 마음이라는 개념이 생겨났습니다. ‘내’가 중요한 시대가 된 것이죠. 나는 더 이상 임금님의 뜻을 따를 필요도 없고, 집안의 마음이 곧 내마음이 아니어도 된 것이에요. 나라는 존재, 나의 마음이 자율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게 되었어요. 이러한 상황을 통틀어서, 자율성(autonomy)라고 합니다. 근대에 비로소 자율적인 개인의 개념이 생겨난 것입니다.

 

그 이후, 사회의 모든 풍경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민주주의라는 정치 개념이 발전되고, 자본주의라는 경제 개념이 발전되었죠.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는 ‘개인’ 그리고 ‘마음’이라는 것이 발명되지 않았다면 발전할 수 없는 개념들입니다. 민주주의는 개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치 체제입니다. 예전에는 왕정 체제와 귀족 체제가 사회의 근간이었죠. 그때는 개인이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개인과 마음의 발명과 더불어 민주주의가 발전하게 됐죠. 민주주의는 개인과 마음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모든 정치를 거기에 맞춥니다. 그래서 한 개인이 투표권을 갖게 됩니다. 그 투표권으로 마음에 드는 사람에게 투표를 하죠. 이제 정치는 한 개개인의 마음에 들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시대가 된 것이에요.

 

자본주의는 개인과 마음의 개념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경제 체제입니다. 자본주의는 개인의 욕망(마음)에 철저하게 기댄 경제 체제에요. 자본(돈)은 개인의 욕망을 채워주는 매직이죠. 개인은 자본을 가진 만큼 자신의 욕망을 채울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개인의 욕망은 밑도 끝도 없죠. 그래서 인간은 그 밑도 끝도 없은 욕망을 채우기 위해서 자본(돈)을 갈망합니다. 누구나 욕망의 크기는 똑같습니다. 무한대이죠. 그러나 사람마다 욕망을 채울 수 있는 한계는 다릅니다. 자본이 많은 사람은 욕망을 더 많이 채울 수 있고, 자본이 없는 사람은 욕망을 조금 밖에 채우지 못하죠. 자본주의 사회에서 계급은 여기에서 발생합니다. 욕망의 크기가 아니라 욕망을 채울 수 있는 능력이 곧 계급입니다. 자본주의 체제에서 사람들은 자본(돈)을 욕망할 수밖에 없습니다. 더 높은 계급이 되기 위해서 그런 것이죠. 그래야 인간다운 삶,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고 믿는 것이죠. 자본주의는 이렇게 철저한 인간학입니다.

 

인간이 자율성을 가지게 된 것은 참 좋은 것입니다. 그런데, 그 자율성이 인간을 정말로 자유롭게 만드는데 쓰이지 않고, 오히려 인간을 비참한 현실로 몰아가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에요. 이 부분에서 인간의 죄성(罪性)이 드러나는 듯합니다. 좋은 것을 좋게 쓰지 못하고, 좋은 것을 악하게 쓰게 되는 현실 말이죠. 민주주의는 좋은 것인데, 개인의 마음에 들어야 하기에 정치가 포퓰리즘으로 갈 위험성이 너무 크고(실제로 그렇게 됐고요), 자본주의는 자아실현을 위해서 귀하게 쓰일 수 있는 요소가 있는데, 결국 인간의 과도한 욕망을 부추겨 인간 자신을 망칠 뿐만 아니라 결국 지구를 망쳐놓게 됐으니까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가 나쁜 게 아니라, 결국 인간이 문제인 것이죠. 좋은 것을 좋게 쓰지 못하는 인간의 그 말할 수 없는 부족함.

 

신앙이 왜 중요한지 모르겠다는 분들에게 바로 이 지점에서 신앙의 중요성을 말씀드리고 싶네요. 신앙은 액셀러레이터(가속기)가 아니라 브레이크입니다. 신앙을 가속기로 사용하려는 사람, 또는 그렇게 사용하라고 부추기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 또한 악한 사람입니다. 특히나 근대의 개인과 마음의 개념 안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신앙은 브레이크입니다. 신앙은 인간의 자율성을 컨트롤 해줍니다. 신앙은 인간의 욕망을 한발짝 떨어져서 바라보게 해주고, 욕망이라는 전차를 멈추어 세우는 브레이크 역할을 해줍니다.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체제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신앙이라는 브레이크가 있다는 것은 크나큰 축복입니다. 나도 모르게 나락으로 떨어지는 인간성을 붙잡아주고, 나도 모르게 무지막지한 파괴행위에 동참하는 일을 멈추어 주기 때문입니다.

 

근대는 고속도로를 쌩쌩 달리는 자동차와 같습니다. 인간은 그 안에 타서 자동차를 멋지게 운전합니다. 그런데, 만약 쌩쌩 달리는 자동차에 브레이크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달릴 때는 기분 좋고 멋지지만, 정작 멈추어야 할 긴급 상황이 오면, 그리고 설정한 목적지에 도착했는데도 불구하고 브레이크가 없어 멈출 수 없다면, 자동차를 탄 인간은 비명을 지르며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할 것입니다. 에드바르 뭉크(Edvard Munch, 1863-1944)의 작품 ‘절규’가 떠오르네요. 뭉크의 절규가 바로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를 탄 우리들의 절규인 것이죠. 그 절규를 멈추어 줄 수 있는 것, 그것이 바로 신앙입니다.

 

신앙을 잘 사용해 보세요. 개인과 마음을 잘 다스리는데 사용해 보세요. 인간의 마음은 사실 그 어떤 것으로도 다스리기 쉽지 않습니다. 아주 압도적인 거대한 힘이 필요하죠. 그런데, 그 거대한 힘이 강압적이거나 강제적이면 안 됩니다. 바람으로 나그네의 옷을 벗길 수는 없습니다. 스스로 옷을 벗게 할 따스함이 필요합니다. 그 거대한 힘, 그러나 따스하고 부드러운 힘, 없는듯 있는 힘, 없이 존재하는 힘, 그래서 개인을 뭉개지 않고,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는 힘, 자율을 진정한 자율로 작동하게 만들어 주는 힘, 그게 바로 하나님이시겠죠. 그런 하나님께 우리의 마음을 내어드리는 것, 그것이 바로 신앙일 것입니다.

 

신앙이 그 어느때 보다 중요한 시대입니다. 인류 역사에서 이만큼 신앙이 중요한 시대가 있었나 싶습니다. 그런데 안타까운 것은 신앙이 가장 중요한 시대에 신앙이 가장 무시되고 있다는 겁니다. 그렇다 보니, 아우성과 탄식 소리만 들립니다. 사람들이 많이 아픕니다. 자기의 마음을 허탄한 것에 맡깁니다. 악순환입니다. 이러한 시대에 신앙을 귀하게 생각하고, 신앙의 중요성을 설득력 있게 전파하는 사람은 정금보다 귀합니다. 이 글을 읽고, 신앙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감사하고, 이 귀한 신앙을 어떻게서든 한 명에게라도 더 전달해야겠다고 마음 먹은 당신은 정말 보배입니다.

'파루시아를 살다(신학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위(無爲)의 존재  (1) 2024.09.17
온라인 기도 사역을 시작하며  (0) 2024.09.03
자유가 자유가 아닌 세상  (0) 2024.08.16
교회와 세속화  (0) 2024.08.15
지구는 인간의 조건이다  (0) 2024.08.15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