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톰(a-tom)의 시대, 우리는 모두 우주소년 아톰이다
우주소년 아톰. 어린 시절 손에 땀을 쥐며 보던 만화영화다. 아직까지도 몇몇 장면은 눈에 선하다. 우주소년 아톰은 우리나라에서 방영될 때의 제목이고, 원래 제목은 ‘Astro Boy(우주소년)’이다. 미국에 온 후, 어린 시절 TV에서 재밌게 보던 미국드라마나 영화를 찾아보게 되었다. 우주소년 아톰 외에도 서부영화 ‘내 이름은 튜니티’를 찾아보았다. 영어 원제목은 ‘my name is Trinity’였다. 트리니티를 ‘튜니티’로 번역한 것이다. 또한 ‘A 특공대’도 찾아보았는데, 원제목은 ‘The A-Team’이다. ‘전격제트작전’은 ‘A Knight Rider’이다. 비디오 씨디를 구입하여, 모두 다시 보았다. 지금 봐도 재밌다.
아톰(atom)은 그리스어에서 온 말로 ‘원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우주소년이 아톰으로 불리는 이유는 그의 에너지원이 등뒤에 건전지처럼 끼워넣는 ‘원자/핵연료’이기 때문이다. 그리스어 ‘아톰(atom)’은 라틴어로 ‘individuum’으로 번역한다. 여기에서 영어의 ‘individual’이 나왔고, 이것을 한국어로 ‘개인’이라 번역한다.
중세를 지배했던 철학은 실재론(realism)이다. 이는 (신)플라톤주의의 핵심 개념으로서, 모든 만물은 실재하는 실체(substance)의 모상에 불과하다는 이론이다. 우리가 ‘보편’을 생각하고 주장할 수 있는 이유는 모든 것은 그 ‘원형’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실재론이 신학에 적용되면, 모든 존재를 존재하게 하는 최고의 실체는 하나님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그리고 그리스도는 그 실체의 보이는 형상이므로, 모든 인간이 본받아야만 하는 이상적인 존재가 된다.
중세의 이러한 실재론에 도전장을 던진 것이 유명론(nominalism)이다. 유명론은 플라톤주의를 극복하려는 철학사상으로서 실체보다는 개체에 집중한다. 실체는 보편성을 가지고 있고, 개체는 개별성을 가지고 있다. 종교개혁은 이렇게 개체에 집중하는 유명론의 철학 바탕 위에 발생한, 사고의 전환이었다. 종교개혁을 통해 세상에 나오게 된 ‘개체’는 계몽주의를 거치면서 인간 세상의 주류 사상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개체, 즉 개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개인이 모든 규범의 중심에 올라서게 된 시대를 우리는 ‘근대’라고 부른다. 근대는 한마디로, ‘개인을 발견한 시대’이다.
근대 이전까지 인간은 자기 자신이 삶의 주체가 되지 못했다. 자기 바깥에서 오는 전통이나 성서가 자신의 삶을 형성하는 규범의 역할을 했다. 그러나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명제를 시작으로 인간은 자기 자신의 삶을 형성하는 규범으로 자기 바깥의 것을 수용하지 않고 자기 자신에게 있는 것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자기 안에 있는 것, 즉 이성이 삶의 규범이 된 것이다. 근대 이후, 인간에게 가장 영향력을 끼치는 것은 그래서 전통이나 성서가 아니라 ‘이성’이 되었다. 이성이 왕이 되었다. 근대 이후의 서구 사상은 이성의 역사이다. 이성과 함께 웃고 울었다.
원자의 개념을 처음 생각한 그리스 철학자는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이다. 소크라테스와 동시대를 살았던 이들이 고안한 ‘원자(atom)’이라는 개념이 거의 2천 년의 세월이 흐른 뒤에 근대에 들어와서 꽃을 피우게 된 것이다.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것의 뜻을 가진 원자는 이제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인간 존재, 개인의 개념을 가져오게 된 것이다. 개인이 발견된 근대 이후, 우리는 진짜로 ‘아톰(atom)’이 된 것이다. 우리는 모두 아톰이다.
아톰이 되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제 개인에게는 주체, 권리, 인권 같은 것을 바탕으로 무한한 자유가 주어졌다는 뜻이다. 그래서 근대 이후 서구 사상은 아톰(개인)이 된 인간 개체가 다른 아톰과 어떻게 잘 어울려 사는 것이 ‘좋은 삶’인가에 대한 성찰로 발전했다. 우주소년 아톰이 힘이 센 것처럼, 한 명 한 명의 인간 개체는 자신의 주체와 권리를 바탕으로 그 누구도 침범할 수 없는 자기 영역(property/재산)을 가지게 되었고, 힘과 힘은 잘 조절되지 않으면 충돌하여 큰 불상사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아톰과 아톰이 어떻게 공멸하지 않고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롤스의 자유주의사상이나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은 모두 그러한 노력들이다.
요즘 ‘소통’이 강조되는 이유는 ‘아톰의 시대’에 아톰과 아톰이 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체와 권리를 바탕으로 무한한 자유를 소유한(또는 소유해가는) 인간 개체는 이제 힘을 가지게 되었고, 그 힘을 정의롭게 쓰는 법을 배우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는 마치, 집에 자동차가 하나 있고 그 자동차는 가장만 운전할 줄 알면 되는 시대에서 각 사람마다 자동차를 소유하게 되어 각 사람이 자동차 운전하는 법을 반드시 배워야 하는 것과 같다.
자유를 손에 쥔다는 것, 권리를 손에 쥔다는 것은 사람에게 칼을 쥐어 주는 것과 같다. 하지만, 그것을 쥔 사람이 아직 어린 아이에 불과하다면 그것이 어떻게 쓰일지 무척이나 걱정되는 상황이다. 손에 쥐어진 칼을 ‘정의롭게’ 쓸려면 ‘성숙’이 필요한데, 만화영화에서 우주소년 아톰이 자신이 지닌 힘을 정의롭게 쓰려고 노력하는 것처럼 이 시대의 아톰들도 자신의 손에 쥐어진 자유라는 칼, 권리라는 칼을 정의롭게 쓰도록 성숙해지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안된다.
개인의 발견은 좋은 것이다. 개인은 충분히 발견되어야 한다. 모든 삶의 결정권은 자기 자신에게 있어야 한다. 그 결정권을 그 누구도 빼앗을 수 없다. 만약 누군가 자기 결정권(자유)을 빼앗으려 한다면 저항해야 한다. 그리고 아톰들은 각자가 ‘충분한’ 아톰이 될 수 있도록 서로가 서로를 배려하고 도와주어야 한다.
그러나 아톰들은 동시에 책임감을 철저하게 가져야 한다. 이것에 실패하면 그는 더 이상 아톰이 아니다. 그냥 만화영화에 등장하는 프로그래밍된 로봇으로 전락하는 것이다. 자유를 갖는다는 것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 어마어마한 일을 잘 해내려면 갖춰야 할 ‘덕성(virtue)’이 참 많다. 그래서 아톰 시대를 사는 우리들은 우아하기도 하지만 피곤하기도 하다. 지치지 않기를. 아톰의 힘과 우아함을 잃지 않기를.
'파루시아를 살다(신학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너진 공동체, 왜? (0) | 2020.12.09 |
---|---|
철학과 신학의 긴급한 과제 (0) | 2020.12.05 |
개신교의 공의회 기능 상실과 게으른 신앙 (0) | 2020.12.02 |
어거스틴 - 사랑이 구원이다 (0) | 2020.12.01 |
신자유주의적 현실 (0) | 2020.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