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 사유의 중요성

 

김승섭은 그의 저서 <우리 몸이 세계라면>에서 권력을 통해 어떤 지식이 생산되는지에 대하여 보건지식의 역사를 추적하며, 특별히 여성에 대한 보건지식이 보건역사에서 어떻게 왜곡되어 왔는지를 추적하며,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문제는 매뉴얼과 교과서 역시 누군가의 관점에서 생산된 과거의 지식이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그 지식의 생산 과정에는 과거의 편견과 권력 관계가 스며들어 있습니다"(30).

 

에모리에서 공부할 때, 'Comparative Theology' 수업 시간에 마지막 페이퍼를 쓰면서 아리우스와 아타나시우스의 신학 대결에서 아타나시우스가 결국 승리한 역사를 거론하며, 그때 생성된 '삼위일체 지식'에 대한 비판을 가한 적이 있다. 그 당시에 생성된 '삼위일체 교리'는 치열한 권력 싸움의 바탕 위에서 아리우스의 패배로 끝나고 말았다. 그러한 것에 의문을 제기하며 써내려간 페이퍼는 교수님(David S. Pacini)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보건지식 뿐 아니라, 다른 모든 지식도, 내가 몸담고 있는 기독교의 신학지식도 마찬가지다. 신학지식도 생산되는 과정에서 과거(그당시)의 편견(한계)과 권력 관계가 스며들어 있다.

 

그러므로, 신학지식이 생산되는 과정에 스며든 그 시대의 편견과 권력 관계를 파헤쳐 그 지식에 숨은 의도를 파악하고, 그것을 지금의 시대에 정의롭게 재생산(재해석)해 내야 하는 것이 현대를 살아가는 신진 신학자들이 해야 할 작업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이것은 중요한 과제일 뿐 아니라, 사명이다.

 

과거의 지식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그대로 재생산해 내고, 그것을 통해 사람들(생명)에게 고통을 가한다면, 그것만큼 게으르고 무모하고 악한 일이 없는 것이다.

 

생성된 지식에 대하여 비판적 사유를 하는 작업은 우리가 거기에 무고한 희생을 당하지 않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고된 작업이다. 비판적 사유와 해석은 늘 필요하다. 아니, 지식생산과 그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생산을 해내는 일에 비판적 사유와 해석은 전부다.


'파루시아를 살다(신학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서의 근본적 필요성  (0) 2019.09.22
낀낀세대가 온다  (1) 2019.09.04
사유의 전복  (0) 2019.08.25
에를레프니스  (0) 2019.08.19
우리 곁에 있는 펠라기우적 신앙  (0) 2019.07.20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