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를 넘어서는 신앙]

 

미국에는 거대한 심리적 병리 현상이 존재합니다. 이는 인종차별에 기반을 둔 현상입니다. 심리적 병리 현상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Guilty(죄책감), Anger(분노), 그리고 두려움(Fear). 죄책감은 백인에게서 나오는 심리적 병리 현상입니다. 분노는 흑인에게서 나옵니다. 두려움은 아시아인에게서 나옵니다. 미국 사회 이면에는 죄책감, 분노, 그리고 두려움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사회가 건장하지 못한 이유이고 사회를 불안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백인은 근대 과학기술을 발전시키면서 세계를 정복했고, 그 과정에서 나쁜 짓을 많이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대표적으로 원주민 대학살의 역사가 있습니다. 5000만 명 정도를 학살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아프리카에서 흑인 노예를 잡아와 자신들의 배를 불리는 데 사용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생명과 자연을 훼손한 일들이 많습니다. 그 과정에서 백인은 '우월감'을 가지게 됐지만, 그 이면에서는 '죄책감'이 자리 잡았습니다. 방귀 뀐 놈이 성낸다고, 백인은 '백인우월주의'를 바탕으로 자신들 이면에 있는 '죄책감'을 덮으려고 합니다. 죄책감이 저변에 병리적 현상으로 자리 잡은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현상은 '표리부동'입니다. 겉으로는 웃고 있지만, 속으로는 사악한 마음을 품습니다. 한 마디로, 속을 알 수 없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죄책감을 감추기 위해서 '선한 일'을 많이 합니다. 무덤에 회칠이라도 하려는 것이죠. 그리고 그러한 선한 일을 통해서 속죄하려고 합니다.

 

흑인은 인종적으로 최고의 피해자입니다. 사람으로 취급 받지 못하고 자신들의 의지와 전혀 상관없이 노예로 잡혀 와서 짐승 취급을 받으며 살았습니다. 영혼이 있는 생명체로서 최악의 경험을 한 것이죠. 그래서 흑인들에게는 '분노'가 많습니다. 분노가 많은 사람들의 특징은 자기의 분노를 표출하지 않으면 살 수 없기 때문에 거칠어진다는 것입니다. 감정 표현이 매우 거칩니다. 흑인 영어는 매우 거칩니다. 제스처도 그렇습니다. 분노를 표출하지 않으면 살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시아인들은 두려움에 사로잡혀 삽니다. 삶 속에서 무슨 피해를 입을까봐 노심초사합니다. 두려움에 사로잡혀 사는 이들의 특징은 절대 다른 사람의 일에 나서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매우 소극적이고 수동적입니다. 자기가 피해 입는 것을 두려워하고, 남에게 피해주는 것을 꺼려합니다. 피해를 입어도 그것을 입 밖에 꺼내기를 주저하고, 왠만한 일은 그냥 참고 넘어갑니다. 아시아인이 미국에서 폭력에 쉽게 노출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각 인종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병리적 현상은 각 인종의 신학과 예배에도 반영됩니다. 백인은 '죄와 용서의 신학'을 중요시합니다. 백인들은 로마서를 좋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모든 인간이 죄인이고, 그 죄를 예수 그리스도께서 용서하셨다는 '복음'은 그들에게 그야말로 구원의 말씀입니다. 게다가 이것은 자신들의 행위를 정당화 시켜주기도 합니다. 자신들의 행동은 죄인인 '타자'를 구원하기 위한 구원 행위였다는 것이죠. 우월감을 가지고 저지른 나쁜 행동들은 모두 그렇게 정당화됩니다. 제국주의자들은 모두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본이 뻔뻔한 이유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월한 자신들이 미개한 조선인들을 구원해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반성이 어렵습니다.

 

흑인은 해방과 기쁨의 신학을 추구합니다. 억압당하며 산 이들에게 해방은 그 자체로 구원입니다. 그래서 흑인들은 해방을 이야기하는 누가복음의 말씀이나 선지서, 그리고 요한계시록 같은 성경을 좋아합니다. 예배에서도 그들은 울분을 토하고, 구원을 주신 하나님을 찬양하며 기뻐하는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하나님께서 악한 사람들을 벌주시고, 약자들을 신원해 주신다는 말씀을 들으면 '에이멘'이 합창처럼 터져 나옵니다. 눌린 억압을 풀어주고, 묶여 있는 분노를 발산할 때 이들은 기뻐합니다. 그래서 흑인 교회의 예배는 기쁨이 충만합니다. 늘 축제입니다.

 

아시아인의 신학은 백인과 흑인의 신학과 결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아시아인들의 신학은 대체로 ‘기복적 요소'가 강한데, 그 이유는 건강이나 물질의 복을 통해서 자신들이 가진 두려움을 극복하거나 달래주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아시아인들은 '하나님이 자신들을 지켜주시고 보호하시고 인도하신다'는 말씀에 감동을 많이 받습니다. 두려움에 쌓여 있기 때문에, 그래서 소극적이고 수동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들에겐 하나님의 지도편달이 필수입니다. 그리고 자신들의 두려움을 보호해줄 보호막이 필요한데, 그것은 대부분 물질적 복이나 건강 또는 자식이나 가족들의 평안입니다. 더이상 바라지 않습니다. 사회 변혁이나 미래에 대한 깊은 관심도 없습니다. 그냥 자기와 자기 가족이 평안하면 그만입니다. 그래서 아시아인들은 정치 참여를 잘 하지 않습니다.

 

각 인종의 신학이나 신앙 형태를 가만히 보고 있으면, 각자 자신들의 병리적 현상을 해결하려는 방식으로 기독교 신학, 신앙이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백인들은 자신들이 가진 죄책감(guilty)을 덮으려는 방식으로 기독교를 전유하고, 흑인들은 자신들이 가진 분노(anger)를 해결하려는 방식으로 기독교를 전유하고, 아시아인들은 자신들이 가진 두려움(fear)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기독교를 전유합니다. 이렇게 각자 기독교를 전유하는 방식이 다르다 보니, 백인이 흑인 교회나 아시아인 교회에 가는 게 불가능하고, 흑인이 백인 교회나 아시아인 교회에 가는 게 불가능합니다. 마찬가지도, 아시아인이 백인 교회나 흑인 교회에 가는 게 쉽지 않습니다.

 

오늘날 기독교가 쇠퇴하는 이유는 다방면으로 살펴봐야 하겠지만, 분명한 이유 중 하나는 기독교가 심리적 병리 현상을 달래는 데 너무도 큰 에너지를 쓰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기독교 신앙이 심리적 병리 현상을 남몰라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독교 신앙은 그런 병리적 현상을 달래고 치유하는 것을 훨씬 넘어섭니다. 그러나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의 심리 기저에 있는 병리적 현상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기독교를 자신들의 병리적 현상을 달래는 데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독교가 원래 가진 '전복성'을 전혀 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 잡는 데 쓰는 칼을 닭 잡는 데만 쓰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 시대는 소를 잡아야 하는 상황인데, 손에 쥔 칼로 닭만 잡고 있다면, 칼의 쓰임새가 너무 축소된 것이고 아까운 것이겠죠. 기독교 신앙은 우리의 마음을 병들게 하는 바로 그 원인을 없애는데 쓰여야겠죠. 원인을 없앨 수 있는 힘이 있는데 그러지 못하고 결과를 치료하는 데만 쓰이는 것은 아까운 일입니다. 기독교 신앙이 좀 더 폭넓게 사회의 어두운 구석을 밝혀주고 치유하는 데 쓰이면 좋겠습니다. 신앙을 너무 자신의 심리적 불안을 달래는 데만 쓰지 말고, 신앙의 지평을 넓혀 나가면 좋겠습니다. 자기를 넘어서는 좋은 신앙인이 됩시다.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