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06'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1.06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아이러니
  2. 2021.01.06 종교개혁과 인간, 그리고 기독론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아이러니]

 

동방의 거대도시들(알렉산드리아, 콘스탄티노플 등)에 대한 로마의 승리로 끝난 니케아-콘스탄티노플 공의회는 아무리 생각해도 아이러니 하다. 니케아-콘스탄티노플 회의에서 '정통'으로 채택한 신학은 "인간이 되신 하나님" 신학이다. 이는 철저하게 인간을 부정하는 신학이다. 성악설이다. 이와는 반대로 니케아-콘스탄티노플에서 정죄된 '아리우스주의' '하나님이 되신 인간' 신학이다. 이는 인간을 매우 긍정하는 신학이다. 성선설이다.

 

우리가 알다시피, 로마교회가 니케아-콘스탄티노플 공의회에서 승리를 거둠으로 인해 기독교의 정통신학은 '인간이 되신 하나님' , 성악설이 되었다. 그러나 이후 전개되는 로마 가톨릭의 행보는 자신들이 채택한 정통신학과는 반대방향으로 간다. 로마 가톨릭의 지배체제는 '보다 나은 인간'인 성직자들에 의한 '보다 못한 인간'인 평신도들을 향한 지배체제이다.

 

내 눈에 이것은 매우 모순적으로 보인다. 인간을 부정적으로 본 니케아-콘스탄티노플 공의회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인간의 성직을 인간에 대한 긍정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부정한 인간이 어떻게 성직을 가질 수 있으며, 그들이 어떻게 하나님과 인간의 중간에 서서 그 둘을 잇는 '대리자' 역할을 할 수 있는가.

 

물론 아우구스티누스와 도나티스트의 논쟁을 통해서 보듯이, 성직이 유지되는 것은 인간의 도덕성 때문이 아니라 성직이 가진 거룩함 자체라는 것을 주장하는 논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나, 인간이 원천적으로 철저히 바깥에서 오는 구원을 필요로 하는 부족한(또는 타락한) 인간이라면, 아무리 성직 자체에 거룩함이 있다 하더라도 인간이 성직을 감당하는 일은 모순적으로 보인다.

 

로마 가톨릭 교회가 기획했던 것은 '보다 나은 인간과 보다 나은 체제'에 의한 세상의 지배였다. 그렇다면, 로마 가톨릭 교회는 처음부터 인간을 매우 긍정한 '아리우스주의'를 정통 신학으로 채택했어야 하는 것 아닐까? 인간을 철저하게 부정하는 '인간이 되신 하나님' 신학을 정통으로 채택해 놓고, 실제 삶에서는 인간을 긍정하는 지배체제를 채택하는 것은 자기 모순처럼 보인다. 이 모순은 설명이 필요하고, 해명이 필요한 신학적 과제이다.

'파루시아를 살다(신학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와 꽃  (0) 2021.01.07
안식일이란?  (0) 2021.01.07
종교개혁과 인간, 그리고 기독론  (0) 2021.01.06
모든 게 뻥이야  (0) 2021.01.05
기독교의 배타성  (0) 2020.12.23
Posted by 장준식

[종교개혁과 인간, 그리고 기독론]

 

"사제집단의 방만한 생활방식과 그들의 교양 없음에 대한 인본주의적 비판과 오컴주의에 영향을 받은 개인주의의 결함은 점차 교회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고 당시의 교회가 내세우던 세계관과 종교관을 버리고 초대 교회의 근본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을 촉발시켰다"

(양대종 논문, <니체 철학에 나타난 마르틴 루터와 종교개혁>에서)

 

알리스터 맥그레스의 <종교개혁사>에서도 그렇고, 종교개혁의 사회적 분위기를 전하는 책이나 논문들은 한결같이 그 당시 종교개혁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사회적 혼란을 전하며, 특별히 성직자와 교회의 비뚤어진 세계관과 생활방식를 언급한다.

 

예나 지금이나 성직자들의 '교양 없음'은 인문주의의 폭로로 드러난다. 인문학 공부가 턱없이 부족한 성직자들에게서 '교양 없음'이 드러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자신들의 교양 없음을 자신들만 모르는 듯, 인문학 공부를 게을리 하는 성직자가 역사의식도 없고 인간에 대한 예의도 없는 것은 예수님도 못말리는 현상이다.

 

개혁이란 무엇일까? 개혁의 근본에는 '인간'이 놓여 있다. 시스템을 개혁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결국 그 시스템을 만들고 그 시스템을 움직이고 그 시스템에 의해 살아가는 것도 결국 인간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예나 지금이나 '종교개혁'은 단순히 종교 시스템의 개혁이라기 보다도 '인간개혁'이라고 말해야 맞는 것 같다.

 

그런데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위의 인용문에서 중세의 종교개혁 당시 그들이 이루고자 했던 개혁은 '초대 교회의 근본으로 돌아가려는' 운동이었다. 이는 개혁이 과거로의 회귀를 가리키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정말 종교개혁자들은 과거로의 회귀를 희망했던 것일까?

 

한국교회에서 개혁을 외치는 자들에게서도 심심치 않게 들리는 구호는 '초대 교회로 돌아가자'이다. 멋진 구호 같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너무 모호하다. 성경에 그려지는 초대 교회는 전혀 이상적인 교회가 아니다. 그 당시의 사회적 맥락은 기독교인들에게 너무 적대적이다. 초대 교회에서 신앙생활 했던 이들에게 그 당시로 다시 돌아가고 싶냐고 물으면, 그때가 그립다고 말할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개혁은 과거로의 회귀가 될 수 없다. 개혁은 인간에게 집중되는 운동이되, 과거로의 회귀라기 보다 '진리로의 회귀'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 진리로의 회귀라는 것은 과거 지향적이지 않고 미래 지향적이어야 할 것이다. 기독교적인 용어로 말하자면, 개혁은 종말론적이어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개혁을 이야기할 때 '예수'라는 인물에 다시 집중할 수밖에 없다. 예수는 과거의 인물이 아니라 '종말론적 인물'이기 때문이다. 니케아 회의는 예수를 '인간이 되신 하나님'이라고 해석했지만, 아리우스는 그와는 달리 '하나님이 되신 인간'이라고 해석했다. 아리우스가 비록 니케아 지지자들에 의해 이단으로 정죄당하긴 했지만, 아리우스주의는 니체를 통해 여전히 우리 곁에 살아 숨쉬는 예수의 해석으로 남아 있는 것 아닌가 싶다.

 

포스트모던시대를 살고 있는 인간, 과학시대를 살고 있는 인간, 유발 하라리가 주장하듯이 'homo deus(하나님이 되고 싶어하는 인간)'의 욕망 속에 사는 인간들에게 예수는 누구인가. 그들에게도 예수는 여전히 '인간이 되신 하나님'인가? 아니면, 그들은 예수를 '하나님이 되신 인간'으로 해석하는 것을 더 선호할 것인가?


'파루시아를 살다(신학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식일이란?  (0) 2021.01.07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아이러니  (0) 2021.01.06
모든 게 뻥이야  (0) 2021.01.05
기독교의 배타성  (0) 2020.12.23
인생 목회 철학  (0) 2020.12.21
Posted by 장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