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 공의회: 환대를 열다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어쨌든 제1차 전도여행을 무사히 마치고 안디옥 교회로 귀환한 바울과 바나나 일행은 전도여행에서 이룬 성과를 교회 공동체와 나누며 기뻐했다. 그리고 그들은 몸을 추스르며 안디옥 교회에서 사역을 이어갔다. 그러던 어느 날, 예루살렘 교회에서 온 어떤 무리들 때문에 안디옥 교회는 한바탕 소동을 겪는다.
예루살렘 교회에서 온 어떤 무리들은 안디옥 교회 교우들에게 다음과 같이 가르쳤다. “모세의 율법대로 할례를 받지 않으면 구원 받지 못한다!” 이방인들로 구성된 안디옥 교회 교우들은 이들의 한 수 ‘가르침’에 적잖은 반감을 일으켰다. 이 때문에 안디옥 교회에는 한바탕 소란이 일어나고, 이 문제를 가지고 적지 않은 다툼과 변론이 일어났다. “바울 및 바나바와 그들 사이에 적지 아니한 다툼과 변론이 일어난지라”(행 15:2). “모세의 율법대로 할례를 받지 않으면 구원 받지 못한다!”는 진술이 그 당시 어느 정도의 충격적인 상황인지를 피부로 느끼려면, 우리 시대에 발생하고 있는 동성애 문제를 떠올리면 된다. 이게 보통 논란과 분쟁을 가져온 게 아니다.
율법의 문제는 바울 서신 곳곳에 등장한다. 대표적으로 로마서에서도 할례와 절기, 그리고 음식 문제가 로마교회를 괴롭혔다. 로마교회는 유대인 그리스도인들과 이방인 그리스도인들이 함께 한 공동체를 이루고 있었기 때문이다. 할례, 절기, 음식은 유대인과 이방인을 구별하는 식별 장치처럼 작동했다. 이것은 구별인가, 차별인가. 구별과 차별은 맞물려 있다. 구별은 평등에 기반하지만, 차별은 차등에 기반한다. 구별은 ‘우리는 다르지만 나는 너랑 잘 지내고 싶어!’이지만, 차별은 ‘나는 너랑 같지 않다. 그래서 나는 너랑 밥을 같이 먹을 수 없어!’이다. 차별의 근본에는 구원의 문제가 깔려 있다. ‘나는 구원 받지만, 너는 구원 받을 수 없어.’
‘구원 받고 싶으면, 너는 나랑 똑같아져야 해!’ 배제와 차별, 그리고 폭력은 이렇게 발생한다. 우월감은 ‘나는 구원 받은 존재이고, 너는 구원 받지 못한 존재’라는 인식에서 비롯된 병리적 생각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역사에서, 그리고 현재 욕을 먹고 저항을 받는 가장 큰 이유이다. 구원을 둘러싼 우월감. 그래서 그리스도교인들의 선교(전도)나 봉사는 시혜적(우월한 위치에서 베푸는 선행)이고, 폭력적(나랑 똑 같은 존재를 만들려고 하는 폭력과 억압)이다. 구원은 우월한 존재가 되는 것이 전혀 아닌데, 구원이 차별의 조건으로 작동하면, 거기에는 반드시 폭력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율법의 문제 때문에 안디옥 교회에 큰 소란이 있었지만, 다행히도 그것이 폭력 사태로 번지지는 않았던 것 같다. 두 진영 간에는 의견 충돌(dissension)과 공적인 논쟁(debate)가 있었다. 의견의 충돌이 있을 때 공적인 논쟁을 치열하게 벌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과정 없이 일방적으로 어떤 것을 결정하는 것은 폭력일 뿐이다. 초대교회의 양대 산맥, 예루살렘 교회와 안디옥 교회는 이 논쟁적인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공의회를 연다. 예루살렘 공의회. 이것은 그리스도교 최초의 공의회이다. 공의회는 보편적인 신앙을 도출하기 위한 그리스도인들의 노력의 산물이다. 그리스도교 역사는 공의회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스도인들은 보편 신앙을 위해서 열심히 모였고, 치열하게 논쟁했고, 권위를 확보하여 선포했다. 오늘날 우리 시대에 발생하는 문제들도 이런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유대 그리스도 진영은 할례를 반드시 받아야 하고 모세의 율법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유대인이든 비유대인이든 상관없이 누구에게나 적용해야 할 법이다. 할례와 모세의 율법에 대한 보편성을 확보하려는 전력이다. 만약 유대 그리스도인 진영이 보편적인 지지를 받았다면, 우리는 현재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 할례를 받아야 하고 모세의 율법을 지켜야 했을 것이다. 대략적으로, 돼지고기를 못 먹고, 안식일을 지켜야 하며, 태어난 지 팔일 만에 할례를 받았어야 했을 것이다.
이에 반해, 이방 그리스도인 진영은 베드로의 증언과 바울과 바나나의 증언, 그리고 주의 형제 야고보의 설득을 통해 의견을 표출했다. 이 중 베드로의 증언이 인상적이다. “너희가 어찌하여 제자들의 목에 멍에를 메어 하나님을 시험하느냐? 주 예수의 은혜로 우리도 저들과 똑같이 구원 받는다고 믿는다”(행 1:10-11). (We believe that we are saved through the grace of the Lord Jesus, in the same way as they also are.) 베드로는 구원을 말할 때 유대인을 중심에 놓고 말하지 않고 이방인을 중심에 놓고 말한다. 이게 정말 인상적인 증언이다. 그들(이방인들)이 우리(유대인들)처럼 구원 받는 게 아니라, 우리(유대인들)가 그들(이방인들)처럼 구원 받는다. 비교 대상을 자기들(유대인들)로 삼지 않고 그들(이방인들)로 삼았다. 기준이 ‘내’가 아니라 ‘너이다. 놀라운 고백이다. 그렇다. 우리는 은혜로 구원 받는다. 구원은 선물이다. 선물이기 때문에 구원은 결코 차별의 준거가 될 수 없다.
격렬한 논쟁이 있은 후,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결정 사항을 공포한다. “성령과 우리는 이 요긴한 것들 외에는 아무 짐도 지우지 아니하는 것이 옳은 줄 알았노니 우상의 제물과 피와 목매어 죽인 것과 음행을 멀리할지니라 이에 스스로 삼가면 잘되리라 평안함을 원하노라”(행 15:28-29). 이것은 모두 그 당시 성행하던 그리스-로마 종교행위와 관련된 것들이다. 이렇게 결정한 것의 속뜻은 ‘누가 주님인가’를 분명히 하는 신학적 조치였다. 로마제국과 황제가 아니라 하나님 나라와 그리스도 예수에게로 이끄는 신앙의 결정이었던 것이다. 이 결정은 즉시 안디옥 교회(이방인들의 교회)에 알려졌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이방인들에 대한 환대가 열린 것이다.
이방인들은 구원을 받기 위해서 다른 무언가를 추가적으로 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냥 있는 모습 그대로 주님 앞에 나오기만 하면 된다. 구원은 환대이다. 주님이 우리를 있는 모습 그대로 받아주시는 것이다. 환대는 이런 것이다. 있는 모습 그대로 받아주는 것이다. 그런데 어떤가. 우리 시대는 환대가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자기랑 똑같지 않으면(신분, 외모, 배움, 소유 등)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나랑 똑같아지라는 요구와 저 사람이랑 똑같아지려는 욕구만이 난무하는 세상이다. 주님의 환대로 구원 받은 그리스도인이라고 하면서 우리도 이 시대의 불의한 풍파에 휩쓸려 요구와 욕구의 노예가 된 것은 아닌지, 깊이 돌아볼 일이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그리스도인은 이러한 차별 가득한 세상에 균열을 내야 한다. 요구와 욕구를 환대로 바꿀 줄 알아야 한다. 요구와 욕구가 아니라 상대방(타자/이웃)을 있는 모습 그대로 받아들여 구원의 은혜를 함께 누리는 환대가 무엇인지를 몸소 보여주어야 한다. 여기에 바로 그리스도교 신앙의 의미와 생명이 달려 있다. 우리는 잘 하고 있는가?
'바이블 오디세이 I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립보 교회의 탄생 (0) | 2024.08.15 |
---|---|
성령이 하시는 일 (0) | 2024.08.04 |
계시 없는 종교성 (0) | 2024.07.25 |
아낌없이 주는 구원 (0) | 2024.07.14 |
바울의 첫 설교: 부활이란 무엇인가 (0) | 2024.07.01 |